The 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IPU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as been conducting the Unification Consciousness Survey annually since 2007. You can find the raw data of the survey available for download below. If you decide to utilize this data, kindly acknowledge that it originates from the Unification Consciousness Survey conducted by IPUS at SNU. Furthermore, if you intend to incorporate this data into any academic papers, reports, articles, books, or other publications, please notify us at tongil@snu.ac.kr so that we can verify the status of data usage. Thank you.
2024 | James D. Kim. “The Long-run Impact of Childhood Wartime Violence on Preferences for Nuclear Proliferation.” Th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68(1), (2024): 108-137. |
Yewon Kwon, Kyung Suk Lee. “Revisiting inter-Korean events and South Koreans’ perception on unification.” Social Science Quarterly, (2024): 1-17. | |
강동선, 우경봉. “통일의식에 대한 코호트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분석과 대안 8(2), (2024): 31-64. | |
2023 | Kyung Suk Lee. “The Microfoundations of Nuclear Proliferation: Evidence from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35(4), (2023): 1-12. |
이문영. “한국 청년세대의 중국 및 일본 인식: 국내 언론 보도의 사실 정합성 검토를 중심으로.” 통일과 평화 15(1), (2023): 289-319. | |
이재현. “한국사회의 남남갈등과 한반도 평화・통일 인식 연구 : 통일의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치학회보 13(2), (2023): 71-94. | |
최장현. “통일 이미지 인식변화 및 통일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통일의식조사결과를 중심으로-.” 민주평화연구 6(2), (2023): 119-142. | |
2022 | 김규철. “한국 국민의 통일의식은 남북관계에 영향을 받는가?.” 통일과 평화 14(2), (2022): 39-78. |
김범수,김병로,김성희,김학재,이성우,최은영,황수환,김민지 2022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2. | |
백승지. “남한 주민들은 북한이탈주민을 어떻게 보는가?: 국민정체성과 경제적 요인의 교호 작용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22. | |
서민진, 김병연, 이정민. “통일 필요성 인식에서의 거주지 효과.” 통일과 평화 14(2), (2022): 79-115. | |
정승호, 조용신, 김규철. “반이민 정서 모형을 이용한 부정적 통일의식 분석.” 통일과 평화 14(2), (2022): 7-38. | |
2021 | 김나영. “북한 및 탈북민 접촉경험이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 탈북민 친밀감과 북한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 no.8 (2021): 489-197. |
김범수, 김병로, 김병연, 김학재, 이성우, 최은영, 황수환, 최현정. 2021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1. | |
김병연, 정승호, 김성희. “남한·북한이탈주민의 국민정체성: 통독 사례와의 비교.” 통일과 평화 13 no.1 (2021): 293-335. | |
김상용. “통일의식이 긍정적 통일감정에 미치는 영향: 통일교육의 매개효과.” 평화학연구 22 no.3 (2021): 81-99. | |
김유나, 문국경. “남한주민의 사회적 거리감이 북한이탈주민의 국민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학교통일교육 학습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2 no.3 (2021): 23-42. | |
신종섭. “진화심리학을 활용한 통일의식 분석과 통일교육 방법 연구.” 초등도덕교육 no.72 (2021): 127-161. | |
한승조, 배영민. “북한에 대한 인지편향(기준점편향) 이 통일인식에 미치는 영향.” 융합보안 논문지 21 no.1 (2021) 201-208. | |
홍명숙, 정민섭, 박상혁. “국민 통일의식의 변천에 관한 연구: 경로 의존성 이론을 중심으로.” 공공정책연구 38 no.1 (2021): 1-26. | |
2020 | 김병철. “북한에 관한 언론의 보도 태도가 대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4 no.3 (2020): 40-60. |
김희정. “통일에 대한 감정구조 유형화 연구.” 인문사회 21 11 no.1 (2020): 1801-1816. | |
이성우. “한반도 정세 변화에 따른 북한 관련 인식태도: 2018년과 2019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36 no.4 (2020): 109-135. | |
임경훈, 김학재, 김범수, 김병로, 김희정, 박원호, 이종민, 최규빈, 최현정. 2020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0. | |
정진리, 유가현. “국민정체성 인식과 접촉 경험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적 접근의 필요성.” 다문화교육연구 13 no.3 (2020): 85-111. | |
정진원. “한국정부의 북한인권 문제 제기에 대한 개인 태도 결정요인, 2009-2018.” 평화학연구 21 no.2 (2020): 93-117. | |
홍명숙. “국민 통일의식의 변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0. | |
2019 | 구본상, 최준영. “변화하는 한반도 환경하에서의 우리 국민의 통일인식 분석: 현대적 성차, 국가 자부심, 통일효용 인식.” OUGHTOPIA 34 no.1 (2019): 43-75. |
구본상, 최준영. “통일의식에서의 영호남 지역 차에 대한 경험적 분석.” 분쟁해결연구 17 no.2 (2019) 107-135. | |
김학재, 강채연, 김범수, 김병로, 김희정, 이성우, 최규빈, 임경훈, 조용신. 2019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9. | |
박현주. “지지정당 차이에 따른 보훈의식 영향요인 비교.” 공공사회연구 9 no.2 (2019): 59-82. | |
정진원.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결정요인.” 사회과학연구 30 no.1 (2019): 155-182. | |
2018 | 강창원. “교육공동체 활동을 통한 통일의식 개선방안 연구: 통일동아리와 숙의민주주의 교육모델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
김희정, 김선. “세대별 통일의식과 통일교육 : 통일의식조사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9 no.6 (2018): 1,643-1,654. | |
왕성성. “Dynamics of South Koreans’ Perceptions on China: Interactions among regime, region and political ideology.” 박사학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 |
이성우, 임재형. “평화가치관의 변화에 대한 경제·정치요인의 영향: 시계열방법을 활용한 통일 및 대북정책의 여론 동향분석.” 국제지역연구 22 no.3 (2018): 263-296. | |
정동준, 김선, 김희정, 나용우, 문인철, 송영훈, 최규빈, 임경훈, 이정옥. 2018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8. | |
조정아. “2030 세대의 통일의식과 통일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통일교육연구 15 no.2 (2018): 21-45. | |
2017 | 김병로. “남북관계의 사건이 통일의식에 미치는 효과.” 통일과 평화 9 no.2 (2017): 157-184. |
김선, 김희정, 임수진. “통일당위성 담론유형 집단별 특성과 통일교육적 함의.” 교육문화연구 23 no.6 (2017): 27-48. | |
윤민재. “한국사회의 이념적 갈등과 특징: 세대별 통일문제 인식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8 no.5 (2017): 831-850. | |
정근식, 김선, 문인, 송영훈, 정동준, 조동준, 천자현, 황정미, 김희정, 이정옥, 임수진. 2017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7. | |
정동준. “경제평가가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2007-2017년 통일의식조사 설문결과 분석.” 담론 201 20 no.3 (2017): 157-195. | |
2016 | 백승대, 안태준. “청소년의 국민정체성이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24 no.1 (2016): 39-58. |
임대규. “빅데이터를 활용한 통일의식 분석 연구.” 석사학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 |
정근식, 김병로, 장용석, 정동준, 최규빈, 김병조, 송영훈, 황정미, 황창현. 2016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통일평화연구원, 2016. | |
정동준. “2016년 국회의원 선거 이후 시민들의 통일의식 변화: 이념적 양극화인가, 당파적 편향인가?.” 한국정치학회보 50 no.5 (2016): 131-161. | |
조은희. “대학 통일교육 현황과 사례: 숭실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0 no.1 (2016): 107-141. | |
최규빈. “남북한 주민의 주변국 인식 비교: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과 평화 8 no.1 (2016): 109-143. | |
황정미. “사회적 위협 인식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 아태연구 23 no.2 (2016): 311-346. | |
2015 | 권수현 , 송영훈. “피를 나눈 형제, 이웃보다 못한 친척?: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주민의 사회적 거리감과 결정요인, 2007-2014.” OUGHTOPIA 30 no.2 (2015): 123-160. |
김병조. “한국인의 통일인식 2007-2015: 세대별 격차와 세대내 분화.” 통일과 평화 7 no.2 (2015): 3-41. | |
안림정. “통일과 북한에 대한 한국국민 인식의 지역별 차이.” 석사학위,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15. | |
이승철. “통일의식조사 비교 연구: IPUS와 KBS 조사를 중심으로.” 도덕윤리과교육 no.47 (2015): 133-162. | |
이성우. “한국인의 대북정책에 대한 평가와 남남갈등의 가능성: 2007-2014.” 분쟁해결연구 13 no.3 (2015): 225-256. | |
2014 | 김병로. “통일환경과 통일담론의 지형 변화: 정부통일방안을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26 no.1 (2014): 1-33. |
박균열, 송도선. “대학생과 성인의 통일의식 및 통일교육 시사점.” 통일전략 14 no.2 (2014): 135-159. | |
박명규, 정은미, 김병로, 최규빈, 장용석, 김병조, 강원택, 황정미. 2014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통일평화연구소, 2014. | |
이내영. “한국인의 통일의식의 결정요인: 새로운 분석모델의 모색.” 평화연구 22 no.1 (2014): 167-206. | |
허석재. “세대교체와 북한인식의 변화.” 평화연구 22 no.2 (2014): 73-112. | |
2013 | 박균열. “통일관련 여론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통일전략 13 no.3 (2013): 185-216. |
박명규, 김병로, 송영훈, 장용석, 정은미.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통일평화연구원, 2013. | |
박명규, 김병연, 김병로, 정은미. 남북통합지수 2008-2013 변동과 함의.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 |
송영훈, 권수현. “대북정책에 대한 개인선호 결정요인.” 아세아연구 56 no.1 (2013): 146-177. | |
이상신. “우리는 북한을 신뢰할 수 있는가?: 여론조사 데이터로 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한국정치학회보 47 no.4 (2013): 113-134. | |
이성우. “통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통일여건의식의 상호관계: LISREL을 통한 구조방정식모델 분석.” 통일과 평화 5 no.1 (2013): 115-153. | |
정은미. “남북한 주민들의 통일 의식 변화: 2011-2013년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과 평화 5 no.2 (2013): 74-104. | |
2012 | 김병로, 최경희. “남북한 주민의 통일의식 비교 분석.” 통일과 평화 4 no.1 (2012): 101-139. |
송영훈, 권수현. “남북관계와 대북정책, 대북정책에 대한 개인선호 결정요인: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 비교.” 북한연구학회 (2012). | |
박명규, 강원택, 김병로, 송영훈, 이수정, 장용석.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통일평화연구소, 2012. | |
정은미, 송영훈. “북한주민의 통일의식과 남한사회의 수용성.” 통일문제연구 24 no.1 (2012): 221-254. | |
2011 | 권영승, 이수정. “글로벌·다문화 사회의 통일의식: N세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다문화 1 no.2 (2011): 1-38. |
권영승. “N세대 대학생의 통일의식에 대한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북한대학원대학교, 2011. | |
박명규, 김병로, 강원택, 정은미, 이상신, 박정란. 2011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11. | |
2010 | 박명규, 김병로, 강원택, 박정란, 정은미, 이상신. 2010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10. |
은기수. “통일과 북한에 관한 사회조사의 동향과 실태.” 통일과 평화 2 no.2 (2010): 35-75. | |
이상신. “정부신뢰의 위기: 천안함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44 no.4 (2010): 97-117. | |
2009 | 김병로. 통일의식 변화와 국민통합을 위한 대북정책 방향. 전북: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
김병조. “민주화 선호경향과 통일의식 간의 관계 분석: 통일정책에 대한 한 제언.” 통일과 평화 1 no.2 (2009): 63-102. | |
박명규, 김병로, 김병조, 박정란, 정은미, 이상신. 2009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09. | |
2008 | 박명규, 김병로, 김병조, 박영호, 정은미. 2008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08. |
2007 | 김병로, 김병조, 박명규, 서호철, 은기수, 정은미. 2007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