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제83차 통일학세미나] 북한 위성영상 분석 연구

통일학세미나  통일학 포럼/세미나  2025.04.11

<제83차 통일학세미나>

  • 주 제: 북한 위성영상 분석 연구
  • 일 시: 2025년 4월 9일(수) 14:00 ~ 18:00
  • 장 소: 서울대 관악캠퍼스 220동 315호 + Zoom 온라인 *비공개

[행사 내용]

□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은 위성영상을 통해 북한을 분석·연구하는 기법을 자문 받고자 관련 분야 전문가들을 모시고 제83차 통일학세미나를 비공개로 진행하였다.

□ 사회를 맡은 이정철 교수(통일학센터장)는 북한 위성영상 연구의 다양한 사례와 기법을 비교·분석한 후 그중에서 연구원 차원에서 시도해 볼 수 있는 연구의 장점을 취해 북한연구의 패러다임이 확장되기를 바란다고 밝히며 전문가들의 자문을 요청하였다.

□ 서울대 환경대학원 장수은 교수는 통일평화연구원의 ‘통일·평화 기반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진행 중인 ‘위성영상을 활용한 북한 간선도로의 교통량 추정’ 관련 연구 사례를 소개했는데, 기존 북한 교통 연구의 한계점과 자료의 제약에 따른 과학적 연구의 부재를 반성하면서 위성영상 분석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위성영상의 수집 및 전처리 과정과 영상 기반 차량 탐지 모델, 해상도, 위성영상별 특징 및 장단점, 연구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등을 언급하며 북한연구에 위성이 활용될 수 있는 영역의 다층적인 측면을 제언해주었다.

□ 이어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최장호 박사는 ‘위성자료를 활용한 북한경제의 미시경제 활동 분석’ 연구를 통한 북한 기업의 생산활동, 물류 및 소비시장 변화 등의 분석 사례를 소개하였다. 해당 연구는 영상 온도 및 조도 지표, 산업별 비교 현황, 종합분석 등을 통해 북한경제를 조망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 받았다. 하지만 분석 대상의 간접성, 공식 통계의 미비, 기술적 한계로 인한 오류나 왜곡 등의 단점은 본 위성영상 분석 연구가 뛰어 넘어야 할 제약으로 지적되었다.

□ 마지막으로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의 김기헌 박사는 ‘위성영상을 통해 본 북한 도시의 변화 사례’를 소개하며 2000년대 이후 신의주시, 사리원시, 신포시, 삼지연시 등의 북한 주요 도시를 샘플 이미지로 함께 공유하였다. 각 데이터에는 사용된 이미지의 크기와 픽셀, 사용된 위성별로 달라지는 해상도의 차이점 등이 특정되었는데, 이는 시기별로 달라지는 지역 또는 도시, 공간 등의 이미지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매우 중요한 정보임이 강조되었다.

□ 종료 발언에서 김범수 원장은 본 세미나에서 열거된 세 가지 연구 사례처럼 북한연구에 위성영상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의 영역이 넓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통일평화연구원에서도 분석 주제,  대상, 시기 등을 특정하여 위성영상을 통한 북한연구 발전을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구성원들이 함께 중지를 모으자는 뜻을 밝히면서 본 세미나를 마무리하였다.

[행사 사진]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