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통일·평화기반구축사업
서울대학교는 정부 및 사회의 주된 관심 중 하나인 통일문제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역량을 증진시키고 이를 통해 국가적 과제의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 2015년부터 “통일기반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21년에는 사업명칭을 “통일·평화기반구축사업”으로 변경해 평화, 인권, 안보 등 다양한 주제를 포괄할 수 있는 사업으로 발전시키고 노력하고 있으며, 단년과제로만 선정했던 과거와 달리 연구사업의 지속성을 위하여 2022년부터 다년과제를 선정하여 통일 대비 지식확충, 인재양성 및 통일교육,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및 다자협력 영역의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2019년~2022년 주요활동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2019년 3월 20일, 2019년 통일기반구축사업에 선정된 기관 책임자 및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통일기반구축사업 전체 회의를 열어 사업을 소개하고 향후 사업 일정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6월 5일에는, Jean H. Lee (우드로 윌슨센터 한국역사·공공정책 디렉터)와 조주희(ABC뉴스 서울지국장)을 초청하여 국제세미나 “Communication in the Peace-making : Presentation or Representation?”을 개최하였다. 이어 지난 9월 23일,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과 중국 화동사범대 주변국가연구원은 ‘한반도문제의 역사와 현실’이라는 주제로 <제2회 한중평화협력포럼>을 개최했다. 본 회의는 ‘한반도 정세변동과 한중관계’, ‘한반도 핵문제와 평화체제 구축’, ‘남북관계, 한중관계 그리고 중국외교’의 세 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어, 한반도 현안과 한중, 남북, 북중, 북미, 한미 관계의 역사와 현재, 향후 전망에 대한 양국 학자들의 진솔한 토론이 이루어졌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2019년 10월 14일~19일 4박5일 간 베트남 하노이의 사회과학연구원 산하 동북아연구소와 다낭의 베트남 사회과학원 산하 중앙지역사회과학연구소를 각각 방문하여 학술교류협정 양해 각서를 체결하였다. 2019년 10월 27일부터 11월 2일까지 통일기반구축사업 연구의 일환으로 북유럽의 세계적인 평화연구기관인 노르웨이의 PRIO(Peace Research Institute Oslo)와 스웨덴의 SIPRI(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Uppsala대학교, ISDP(Institute for Security and Development Policy)를 방문하였다. 앞의 평화연구기관들은 전 세계적으로 평화연구를 선도하는 기관이다. 이번 방문을 통해 각 기관과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은 앞으로 기관 간의 협력을 지속하기로 했으며, 특히 ISDP와는 MOU를 체결하는 등 큰 성과가 있었다.
11월 26일~27일에는 <2019 통일기반구축 연합학술대회>가 이틀에 걸쳐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에서 열렸다. 총 17개 세션, 52개 발표가 진행된 이번 학술대회는 통일기반구축을 위한 서울대학교 교내 30개 기관, 34개 사업 추진의 열매를 공유하는 자리였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작년과 같이 활발한 해외교류를 갖지는 못했지만, <2020 통일기반구축 연합학술대회>를 비대면 화상회의를 통해 진행하면서 더 많은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총 29개 세션, 63개의 발표가 2박 3일 간 온라인 화상회의로 이어졌으며, 학제 간 구분을 뛰어넘는 다양한 전공의 학술적 성과를 공유하고 활발한 토론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2021년에는 <2021 통일기반구축 연합학술대회>를 비대면 화상회의+현장 회의(하이브리드 방식 운용)를 통해 총 29개 세션, 63개의 발표가 2박 3일 간 온라인 화상회의로 이어졌으며, 학제 간 구분을 뛰어넘는 다양한 전공의 학술적 성과를 공유하고 활발한 토론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11월 29일(월)에는 11시 개회식(장소: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교육협력동 1층 대강의실)을 시작으로, 13시부터 18시까지 대면과 비대면으로 총 16개 세션으로 나뉘어 연구 결과물을 발표하고 이어 11월 30일(화)에는 10시부터 15시까지 비대면으로 총 15개 세션으로 나뉘어 연구 결과물을 발표하였다.
「2022년 통일·평화기반구축사업 연합학술대회」는 2022년 11월 17일과 18일에 진행되었다. 18개 기관 단위, 총 25개 사업팀에서 1년 간 진행한 연구 결과물들을 이번 학술대회에서 양일 간 발표하였다. 첫째 날인 11월 17일(목)에는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에서 10시부터 12시, 13시 30분부터 18시까지 총 11개 세션, 22개 사업팀이 연구 결과물을 발표하였고, 이어 11월 18일(금)에는 서울대학교 교수회관에서 13시 30분부터 18시까지 총 3개 세션(1개 세션은 비대면), 4개 사업팀이 연구 결과물을 발표하였다.
앞으로도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통일·평화기반구축사업”으로 확대된 명칭만큼 한반도 통일과 평화에 기여할 역량 강화를 위해 교내 기관과 더욱 긴밀히 협력할 것이다.
2023년 참여기관
소속 대학 | 기관명 | 사업책임자 | 사 업 명 |
---|---|---|---|
의과대학 | 통일의학센터 | 문진수 | 남북 기후변화 및 건강영향 모니터링 기능 강화를 위한 스마트 보건지소 모델 개발 (1차년도) |
응급의료연구실 | 신상도 | 한반도 핵무기 사용 시 민간 사상 규모 및 의료대응자원 예측을 통한 반전(反戰) 근거 마련 연구 | |
치의학대학원 | 통일치의학협력센터 | 한동헌 | 남한 치과의료체계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차별경험 구조와 차별 해소방안 |
법학대학 | 헌법·통일법센터 | 이효원 | 남북관계와 평화통일 관련 법제도의 체계적 분석과 남북한 법률 비교 |
사회과학대학 | 여성연구소 | 신혜란 | 젠더적 측면에서 본 탈북 이주 지형 변화: 탈북여성의 돌봄노동, 비공식성, 임파워먼트, 다층적 정체성과 문화정치 (2차년도) |
정치외교학과 | 김용균 | 이주민 밀집지역 내 시민 간 협력: 현장실험 연구 | |
비교문화연구소 | 강정원 | 북한 놀이 문화의 변화와 현재: 여가와 휴일 정책을 중심으로 | |
사회학과 | 장경섭 | 중국의 탈집체(集體) 농촌개혁과 북한에 대한 함의: 大河人民公社(鎭), 1970-2003 | |
인문대학 | 인문학연구원 | 방민호 | ‘북한문학’과 북한지역 로컬리티 이해 |
자연과학대학 | 해양연구소 | 강헌중 | 북한 결핵 해결을 위한 천연소재 발굴 |
기초과학연구원 | 임종태 | 북한의 ‘과학적인 자력갱생’ 현황 연구: 2.16 과학기술상을 중심으로 | |
공과대학 | 건설환경종합연구소 | 권영상 | 3차원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한 북한 도시공간의 환경 및 에너지효율 개선방안 |
건설환경공학부 | 김용일 | 통일대비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RS/GIS 기술 기반의 북한지역 스마트시티 도입방안 분석 | |
에너지자원신기술연구소 | 박형동 | 한반도 폐광산의 평화적 활용방안 연구 | |
농업생명과학 대학 |
국제농업기술대학원 | 박미선 | 한반도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남북 협력 방안 연구 |
농업생명과학대학 | 안동환 | 북한 쌀 시장의 지역 연계와 통합에 관한 연구 | |
북한해외농업연구소 | 임정빈 | 산업연관분석 및 수입대체효과 추정을 통한 남북 농업협력 경제효과 분석 | |
농업생명과학대학 | 이승환 | 평화통일 대비 접경지역(DMZ) 생물다양성(곤충, 버섯류) 현황 파악 및 한반도 통일명 제시 (1차년도) | |
사범대학 | 교육학과 | Kevin Kester | Building Peace through Higher Education in Divided and Conflict-Affected Societies: Insights from China/Taiwan, Cyprus, Korea, and Somalia |
체육교육과 | 권순용 | 스포츠 평화학의 실천적 영역으로서 스포츠 평화교육 개념 및 모델 탐구 | |
환경대학원 | 환경계획연구소 | 박인권 | 북한이탈주민 통합형 주거환경 및 지역공동체 연구 |
윤순진 | 북한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남북 기후변화 및 재생에너지 연구 협력 가능성 모색 | ||
수의과대학 | 수의학과 | 유한상 | 한반도에 가축전염병 청정지대 구축을 위한 남북한 공동대응방안 연구 |
본부 | 그린바이오 과학기술연구원 |
지성태 | 식량안보 관점의 북한 신안보 위기와 남북협력 (2차년도) |
2022년 참여기관(사업명을 누르시면 결과보고서 확인 가능합니다)
소속 대학 | 기관명 | 개인 | 사 업 명 |
---|---|---|---|
의과대학 | 인간행동의학연구소 | 남한 사회에서의 통일 과정의 사회적 ‘감정’과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인식 분석 | |
통일의학센터 | 통일의료 지식 공유 및 사회적 공감대 형성 | ||
통일의학센터 | 한반도 보건의료협력 역량 증진을 위한 통일의료 차세대 전문가 네트워크 형성 | ||
응급의료연구실 | 북한 지역사회 의료역량강화를 위한 온라인 비대면 응급처치 교육과정 개발 | ||
치의학대학원 | 통일치의학협력센터 | 한동헌 | 통일 후 북한 지역 치과 건강보험 설계와 재정 추계 |
간호대학 | 김진현 | 통일시대를 위한 북한간호인력 활용방안과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증진 방안 모색 | |
미술대학 |
김형숙 |
평화통일을 위한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 |
아시아연구소 | 김정은 시대 북한의 도시화 전략 : 도시문화 전파를 통한 새로운 ‘도시성’의 발현 | ||
법학대학 | 헌법·통일법센터 | 북한법의 체계적 분석과 남북한 관련 법률 비교 | |
사회과학대학 | 여성연구소 | 젠더적 측면에서 본 탈북 이주 지형 변화: 탈북여성의 돌봄노동, 비공식성, 임파워먼트, 다층적 정체성과 문화정치 | |
사회과학대학 | 김용균 | 사회주의 배경 이주민 밀집지역의 한국사회 통합 방안 연구: 서울시 베트남 이주민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 |
인문대학 | 인문학연구원 | 북한 인문학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구축 (3차년도) | |
자연대학 | 미생물연구소 | 신승관 | 평화통일 대비 강원도 고성군 접경지역(DMZ)의 생물다양성(곤충, 버섯류) 현황 파악 및 남북한 생물명 차이 비교 |
공과대학 | 박용성 | ||
농업생명과학 대학 |
국제농업기술대학원 | 박미선 | |
농업생명과학대학 | 안동환 | 북한의 식량안보와 장바구니 물가 | |
농업생명과학대학 | 김의준 | ||
북한해외농업연구소 | |||
국제대학원 | 국제학연구소 | ||
에너지자원신기술연구소 | 박형동 | ||
환경대학원 | 환경계획연구소 | ||
보건대학원 | 보건대학원 | 김선영 |
평화에 이르는 길: 보건을 통한 경로 탐색 및 HDP Nexus in Health 이행방안 모색 |
본부 | 그린바이오 과학기술연구원 |
지성태 | |
행정대학원 | 한국행정연구소 |
2021년 참여기관(사업명을 누르시면 결과보고서 확인 가능합니다)
2020년 참여기관 (사업명을 누르시면 결과보고서 확인 가능합니다)
2019년 참여기관 및 세부사업
2018년 사업 참여기관
2017년 사업 참여기관
사업기관 | 사업명 | 사업 책임자 |
|
---|---|---|---|
구분 | 기관명 | ||
의대 | 통일의학센터 | 통일 보건의료 전문 인력 양성 | 신희영 교수 |
동북아시아 통일보건의료 협력 | |||
응급의료연구실 | 통일대비 응급의료인력개발 계획 | 신상도 교수 |
|
치의학대학원 | 통일치의학협력센터 | 국제, 국내 협력을 통한 통일 치의학 협력 기반 조성 | 이승표 교수 |
법대 | 헌법·통일법센터 | 실질적인 사회통합을 위한 통일과정의 법제도에 관한 연구 | 이효원 교수 |
고용법지법센터 | 통일대비 북한 해외노동자의 실태와 법적 과제 연구 | 이철수 교수 |
|
공대 | 통일한반도국토 인프라센터 (건설환경종합연구소) |
통일한반도 도시집적화 및 도로거점 공간개발을 위한 사업전략 수립 방향 제안 |
고현무 교수 |
동아시아교류개발센터 (건설환경종합연구소) |
20세기 후반 평양의 건축과 도시 연구 | 전봉희 교수 |
|
에너지자원신기술연구소 | 북한 아연광산에 대한 투자·개발 전략 연구 | 송재준 교수 |
|
사범대 | 통일교육연구센터 | SNU 통일학교 : 분단·다문화 시대 교사 역량 개발 워크샵 | 박성춘 교수 |
탈북청소년 예비대학 | |||
사회 과학대 |
동북아센터 (아시아연구소) |
전지구적 맥락에서 본 한반도 현안 : 북한을 탈악마화 하기 (Dedemonizing North Korea) |
이정훈 교수 |
국토문제연구소 | 통일시대 국토공간의 통합적 진단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 |
박수진 교수 |
|
사회발전연구소 | “일대일로”와 초국경협력 교육인적자본기반구축 사업 | 장덕진 교수 |
|
언론정보연구소 | 미디어 통일지향성 평가 및 탈북 청소년 뉴스 리터러시 교육 | 윤석민 교수 |
|
농업생명 과학대 |
북한·해외농업 연구소 |
통일대비 한·러·북 농업협력 체계 구축 및 북한 농업인력 활용 시범사업(3차년도) | 임정빈 교수 |
인문대 | 인문학연구원 | 통일인문학 토대 구축 | 김주원 교수 |
한국어문학연구소 (인문학연구원) |
<통일 문법> 정립을 위한 남북한 규범문법 비교 분석 | 장소원 교수 |
|
통일 시대 탈북 문학의 접근과 전망 2 : 탈북 시와 영화, 희곡, 아동문학 등의 DB구축과 심화 | 방민호 교수 |
||
언어연구소 (인문학연구원) |
북한의 한국어사 및 한국어학사 연구(1990년대)에 대한 종합적 고찰 |
이현희 교수 |
|
역사연구소 (인문학연구원) |
통일 국토 이해를 위한 자료집 편찬 | 오수창 교수 |
|
생활 과학대 |
생활과학연구소 | 하나원 아동을 위한 미디어 및 놀이문화 프로그램 및 강의 개발 | 이순형 교수 |
국제 대학원 |
국제학연구소 | ‘통일 이후’ 제도 및 사회통합을 위한 해외 사례 연구 및 국제 협력 |
박태균 교수 |
행정 대학원 |
한국행정연구소 | 통일 이후를 위한 국가공무원 재교육에 관한 연구 | 정광호 교수 |
통일 후 국영 산업부문 체제개편에 관한 연구 | 김상헌 교수 |
||
아시아개발연구소 | 북한 에너지산업의 체제전환 대비와 국내 공공기관 역할에 대한 연구 |
김준기 교수 |
|
환경 대학원 |
환경계획연구소 | DMZ접경지역 평화예술프로젝트 | 조경진 교수 |
보건 대학원 |
보건환경연구소 | 보건분야 통일대비 사업평가 | 김창엽 교수 |
경영대 | 경영정보연구소 | 통일시대를 대비한 한반도 물류산업 예측에 관한 연구 | 양홍석 부교수 |
수의과대 | 수의과학연구소 | 통일과 사회재난에 대비한 북한 수의교육 현황 분석 및 방역 공조 체제 연구 |
우희종 교수 |
약학대 | 종합약학연구소 | 북한 약용식물자원의 산업적 활용을 위한 기반 연구 | 박정일 교수 |
본부 | 본부 | 서울대-연변대 교육 협력 사업 | 정근식 교수 |
통일평화연구원 | 중동부유럽 탈사회주의 체제 전환 경험과 북한에의 시사점 : 정치·경제·사회문화 |
김학재 교수 |
|
몽골의 탈사회주의 전환 연구 | 백지운 교수 |
2016년 사업 참여기관
사업기관 | 사업명 | 사업 책임자 |
|
---|---|---|---|
구분 | 기관명 | ||
의대 | 통일의학센터 | 통일 보건의료 인재양성 및 통일 보건의료 DB운영 | 신희영 교수 |
대북 보건의료지원 국제 네트워크 및 제3국을 통한 통일보건의료 협력사업 |
|||
응급의료연구실 | 통일대비 응급의료체계 개발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
신상도 교수 |
|
치의학대학원 | 통일치의학협력센터 | 통일한국을 대비한 남북 구강건강 비교 연구 및 치의학 분야 인식 조사 |
이승표 교수 |
간호대 | 간호과학연구소 | 통일시대 간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개발 및 스마트기기용 간호교육콘텐츠개발 |
서은영 교수 |
법대 | 헌법·통일법센터 | 통일과정에서 북한지역에 대한 법제정비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
이효원 교수 |
고용복지법센터 | 통일대비 북한노동력 실태조사 및 고용·복지분야 법제도 인프라 구축방안 |
이철수 교수 |
|
공대 | 건설환경 종합연구소 통일한반도 국토인프라센터 |
통일한반도의 육상 교통체계 수요 변화 전망과 구축전략 제안 |
고현무 교수 |
에너지자원신기술연구소 | 북한 철광산에 대한 투자·개발 전략 연구 | 박형동 교수 |
|
사범대 | 통일교육연구센터 | 탈북청소년 예비대학 | 박성춘 교수 |
SNU 통일학교 | |||
사회과학대 | 경제연구소 | 남북한 인적통합을 위한 인적자본 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 |
이정민 교수 |
아시아연구소 동북아센터 | 소련형 대학의 형성과 쇠퇴에 관한 비교연구 : 북한의 대학을 이해하는 하나의 시각 |
채수홍 교수 |
|
국토문제연구소 | 통일시대 국토공간의 통합적 진단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 |
박수진 교수 |
|
국제문제연구소 | 통일 한국의 외교전략 | 전재성 교수 |
|
사회발전연구소 | 두만강유역 초국경협력 교육인적자본기반구축 사업 | 장덕진 교수 |
|
언론정보연구소 | 미디어 통일지향성 평가 | 윤석민 교수 |
|
농업생명과학대 | 북한·해외농업 연구소 |
통일대비 한·러·북 농업협력 체계 구축 및 북한 농업인력 활용 시범사업(2차년도) |
임정빈 교수 |
인문대 | 인문학연구원 | 통일인문학네트워크 구축 | 김주원 교수 |
통일인문학교 | |||
인문학연구원 한국어문학연구소 |
통일 시대 탈북 문학의 접근과 전망 – 탈북, 북한 관계 소설 및 수기류의 목록 정리와 그 활성화 |
방민호 교수 |
|
생활과학대 | 생활과학연구소 | 「하나원 교육과정 제안 및 생활교육강의 개발」과 「통일교육전문가 네트워크 구축」사업 |
이순형 교수 |
본부 | 통일평화연구원 | 통일예술 교류협력 프로그램 | 정근식 교수 |
통일교육의 국제화 사업 | |||
서울대-브래드포드대-베를린자유대 평화학 협력 프로그램 |
2015년 사업 참여기관
사업기관 | 사업명 | |
---|---|---|
구분 | 기관명 | |
본부 | 입학본부 | 북한이탈주민 서울대 입학전형 효율화 |
통일평화연구원 | 서울대학교-김일성종합대학교-연변대학교 연합 학술대회 | |
서울대-하버드 및 존스홉킨스대 통일연구·교육 네트워킹 | ||
탈북민 종합예술제 | ||
서울대-베를린자유대 통일협력 프로그램 | ||
서울대학교 통일기반조성 대학술회 | ||
공대 | 건설환경종합연구소 | 통일한반도 국토인프라를 위한 국가전략 수립 기반 구축 사업 |
에너지자원신기술연구소 | 한반도 에너지자원 정보센터 | |
농업생명대 | 북한·해외농업연구소 | 한·러·북 3국간 농업협력 체계 구축 및 북한 농업인력활용 시범 사업 |
법대 | 헌법·통일법센터 | 북한이탈주민 법적 지원 시스템 구축 |
고용복지법센터 | 통일대비 노동, 사회보장 분야 법제화 및 탈북자 사회보장 실태조사 | |
사범대 | 통일교육연구센터 | SNU 통일학교 |
SNU 탈북청소년 꿈날개 캠프 | ||
사회과학대 | 아시아연구소동북아센터 | 북·중·러 접경지역의 인구이동과 공간의 재구성 |
사회발전연구소 | 기업, 재외동포, 국제기구와 함께하는 두만강 하류 지역 통일기반 구축 및 교육사업 | |
경제연구소 | 분단 70주년 남북한의 차이와 극복 : 의식과 인적자본 | |
생활과학대 | 생활과학연구소 대북영양정책 지원실 |
북한 영유아 및 임산부를 위한 영양보충식품 개발 사업 |
의대 | 통일의학센터 | 통일대비 융합 미래연구 추진 및 북한 보건의료인력 역량 강화 사업 |
통일 보건의료 인재양성 및 DB 구축 사업 | ||
인문대 | 인문학연구원 | 북한대학과 북한 인문학 DB구축 사업 |
통일 인문학 해외네트워크 조성 | ||
치의학 대학원 | 통일치의학 협력센터 | 통일한국을 대비한 북한 치의학 의료·교육 현황 연구 |
환경대학원 | 환경계획연구소 | DMZ GLOCAL FAI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