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제83차 통일학세미나] 북한 위성영상 분석 연구

2025.04.11

<제83차 통일학세미나> 주 제: 북한 위성영상 분석 연구 일 시: 2025년 4월 9일(수) 14:00 ~ 18:00 장 소: 서울대 관악캠퍼스 220동 315호 + Zoom 온라인 *비공개 [행사 내용] □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은 위성영상을 통해 북한을 분석·연구하는 기법을 자문 받고자 관련 분야 전문가들을 모시고 제83차 통일학세미나를 비공개로 진행하였다. □ 사회를 맡은 이정철 교수(통일학센터장)는 북한 위성영상 연구의 다양한 사례와 기법을 비교·분석한 후 그중에서 연구원 차원에서 시도해 볼 수 있는 연구의 장점을 취해 북한연구의 패러다임이 확장되기를 바란다고 밝히며 전문가들의 자문을 요청하였다. □ 서울대 환경대학원 장수은 교수는 통일평화연구원의 ‘통일·평화 기반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진행 중인 ‘위성영상을 활용한 북한 간선도로의 교통량 추정’ 관련 연구 사례를 소개했는데, 기존 북한 교통 연구의 한계점과 자료의 제약에 따른 과학적 연구의 부재를 반성하면서 위성영상 분석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위성영상의 수집 및 전처리 과정과 영상 기반 차량 탐지 모델, 해상도, 위성영상별 특징 및 장단점, 연구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등을 언급하며 북한연구에 위성이 활용될 수 있는 영역의 다층적인 측면을 제언해주었다. □ 이어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최장호⋯

[제82차 통일학세미나] 북한이탈주민 조사사업 연구 현안 진단

2025.03.18

<제82차 통일학세미나> 주 제: 북한이탈주민 조사사업 연구 현안 진단 일 시: 2025년 3월 12일(수) 15:00 ~ 17:00 장 소: 통일평화연구원 대회의실(교육협력동 9층) + Zoom 온라인 *비공개 [행사 내용] □ 2025년 3월 12일(수) 15:00부터 관련 분야 전문가들 간 북한이탈주민 조사사업 연구 현안을 진단하는 세미나가 진행되었다.  □ 사회를 맡은 통일평화연구원의 김병로 교수(조사분석실장)는 그간 연구원에서 2008년부터 <북한주민 통일의식> 및 <북한사회변동> 조사를 수행하여 왔으나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한 연구 방향의 변경 이후 이탈주민 연구에 대한 지속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밝히면서 향후 이탈주민 조사사업 및 북한연구 방향에 대한 전문가들의 제언을 요청하였다. 함께 참석한 이정철 교수(통일학센터장) 또한 올해 이탈주민 조사 연구의 타이틀은 정치참여 및 사회의식 변화라는 연구원에서 기존에 시도하지 않았던 주제로 접근하였으나 유의미한 결과를 얻어내지 못했다고 밝히며 지속가능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통일연구원의 정은미 연구위원은 국내 여러 기관에서 통일 및 북한 관련 장기 조사를 수행하고 있는 점을 소개하면서 남북관계 경색으로 인해 양적 조사 결과의 관심도와 유의성이 낮아지고 있는 현실을 지적하였다. 이에 양적 통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제81차 통일학세미나] 2023년도 북한이탈주민 조사사업 결과보고 세미나

2024.06.11

<제81차 통일학세미나> 주 제: 2023년도 북한이탈주민 조사사업 결과보고 세미나 일 시: 2024년 6월 10일(월) 19:00 ~ 22:00 장 소: Zoom 온라인 *비공개   [행사 내용] □ 2024년 6월 10일(월) 19:00부터 2023년도 북한이탈주민 조사사업의 결과를 총괄하는 비공개 세미나가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 세션1에서는 김병로 통일평화연구원 교수의 사회로 북한이탈주민 심층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정치’ 의식, ‘사회 및 일상생활’ 변화, ‘의식주 및 정보화’, ‘주변국인식’ 분야 등에 대한 주제 발표가 있었다. 각 발표에는 김택빈, 조현주, 최은영 선임연구원(이상 통일평화연구원)과 임수진  부연구위원(국가안보전략연구원)이 참여했고, 안경모 교수(국방대), 정은미, 장철운 연구위원(이상 통일연구원), 송현진 교수(이화여대)가 각 파트에 대한 토론을 맡았다. 발표가 끝난 후 이어진 논의에서는 분석틀과 개념에 대한 심화분석, 북한이탈주민의 의식과 실제 사회의 현실 간 격차를 해소해야 하는 문제, 분석 도구로서 반영되는 인터뷰 내용이 실제 의도를 얼마나 담아내고 있는가에 대한 제언이 있었다.  □ 세션2에서는 이정철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의 사회로 세션1과는 또 다른 파트인 ‘북한실태 변화’, ‘통일인식’, ‘탈북과 남한적응 실태’, ‘대남인식’, ‘경제’ 분야 등이 다뤄졌다. 각 발표는 세션1과 동일한 인원이 참여하였고, 고광영 상임연구위원(평화나눔연구소),⋯

[제80차 통일학세미나] 2024 한반도의 뉴 게임: 다가오는 변화와 파도

2024.01.05

<제80차 통일학세미나> 주 제: 2024 한반도의 뉴 게임: 다가오는 변화와 파도 일 시: 2024년 1월 4일(목) 13:30 ~ 18:00 장 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101동 210호) 및 온라인 화상회의(ZOOM)   [행사 내용] □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원장 김범수)은 2024년 01월 04일 (목) 13:30부터 18:00까지 <2024 한반도의 뉴 게임: 다가오는 변화와 파도>라는 주제로 제 80차 통일학세미나를 서울대 아시아 연구소 영원홀(101동 210호)에서 개최했다. □ 본 세미나는 2024년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와 남북 관계를 조망하고, 우리가 직면한 다양한 대내외적 도전들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구상해 보고자 기획되었다. □ ‘2024 글로벌 정세와 미국의 군사전략’을 다룬 세미나 1부에는 사회자: 최진욱 전략문화연구센터 원장 (前 통일연구원장), 발표자: 이혜정 중앙대 정치국제학과 교수, 설인효 국방대 군사전략학과 교수, 조성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토론자: 최우선 국립외교원 교수, 이성훈 국가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 이승주 중앙대 정치국제학과 교수가 참여했다. ‘2024 북한의 정치와 경제전략’을 다룬 2부에는 사회자: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객원연구원, 발표자: 이상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조용신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토론자: 김택빈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이종민 한국은행 북한경제연구실 부연구위원이 참여했다. □ 세미나⋯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