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2025년 1월 9일 목요일 16:00-17:30 장소: 온라인 화상회의(ZOOM) 발표: 한모니까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교수) 좌장: 정한범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 주제: DMZ의 역사: 한반도 정전체제와 비무장지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한모니까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교수를 모시고 2025년 1월 9일 목요일 ‘DMZ의 역사: 한반도 정전체제와 비무장지대’라는 주제로 제29차 평화학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는 정한범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환영사와 함께 포럼의 막을 올렸다. 이번 포럼에서 한모니까 교수는 정전체제의 핵심 요소로서 DMZ가 언제, 왜, 어떻게 구상되고 형성되었는지를 역사학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강연의 서두에서 한 교수는 DMZ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경험에 주목하였다. “DMZ는 많은 이들에게 남북 분단의 경계선이자 최전방이라는 이미지로 각인되어 있으며, 군 복무의 고생담과 무용담으로 기억되는 공간이기도 하다”고 언급한 한 교수는, 그와 동시에 이곳이 “BBC가 세계에서 가장 철저히 요새화된 지역 중 하나로 보도할 만큼 고도의 군사적 긴장감이 존재하는 장소”라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DMZ는 단순히 군사 공간에 그치지 않고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종과 희귀종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이자, 평화의 상징으로 주목받는 공간”이기도 하다며, 이러한 DMZ의 이중성과 그것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