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한모니까

직위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교수
연구분야 : 한국현대사, 한국전쟁, 접경지역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조교수.

주요 연구주제는 한국전쟁과 DMZ 접경지역의 역사를 중심으로 한 남북 분단과 통일평화 문제이다. 수복지구와 신해방지구, 즉 38선과 비무장지대(DMZ) 사이 지역에 대한 연구에 이어 최근에는 DMZ의 역사와 비/평화 실태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DMZ 평화지도’의 기획 및 제작 총괄을 맡는 등 비무장지대 문화콘텐츠 제작에도 많은 관심을 지니고 있다.

주요저서로는 『한국전쟁과 수복지구』(단독저서, 2017), 『4‧19와 남북관계』, 『한국전쟁기 남북한의 점령정책과 전쟁의 유산』,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동아시아의 한반도, 유럽의 독일』, A History of Korea, 『대한민국 평화기행』 등이 있다. 최근 논문으로는 <북한의 인민 만들기와 감정 정치>, <1960년대 비무장지대(DMZ)의 무장화 과정과 배경>, <‘유엔사 규정’(UNC Reg.)과 유엔군사령부의 비무장지대(DMZ) 관리>, <1950년대~1960년대 민간인통제선(CCL)의 변화와 ‘민북(民北)마을’의 형성>, <DMZ 접경지역과 북한의 전후 복구>, <DMZ 디지털 콘텐츠와 公衆의 專有-DMZ 평화지도 기획과 구현을 중심으로->, <“The Frontlines of Freedom”: The 1967 Incident at Guard Post Ouellette and the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등이 있다.

박사학위논문은 ‘강만길연구지원금’(내일을 여는 역사재단. 2011)을 수상했으며, 이를 보완하여 출간한 『한국전쟁과 수복지구』는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2018)로 선정되었다. 한국역사연구회 미디어위원장과 상임인권위원, 『내일을 여는 역사』와 『역사문제연구』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했고, 『통일과 평화』의 편집책임 겸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통일부 등에 정책자문활동을 하고 있다. ‘DMZ 평화상-학술상-’(강원도·강원일보사, 2021)을 수상했다.

 

저서

  • ≪한국전쟁과 수복지구≫, 푸른역사, 2017
  • ≪한국전쟁기 북한노획문서 북한신문 연구 해제집≫, 선인, 2021(공저)
  • ≪대한민국 평화기행≫, 창비교육, 2021(공저)
  • ≪한반도 DMZ-평화의 공간으로 거듭나기≫,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2020(공저)
  • A HISTORY OF KOREA,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9(공저)
  •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동아시아의 한반도, 유럽의 독일≫, 한울, 2019(공저)
  • ≪한국전쟁기 남·북한의 점령정책과 전쟁의 유산≫, 선인, 2014(공저)
  • ≪역사학의 시선으로 읽는 한국전쟁: 사실로부터 총체적 인식으로≫, 휴머니스트, 2010(공저)
  • ≪4.19와 남북관계≫, 민연, 2001(공저)

 

논문

  • ““The Frontlines of Freedom”: The 1967 Incident at Guard Post Ouellette and the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Korea Journal Vol. 62 No. 1, 2022
  • “On This Topic: Division, the Formation of Cold War Borders, and Border-Crossing” Korea Journal Vol. 62 No. 1, 2022
  • <DMZ 디지털 콘텐츠와 公衆의 專有-DMZ 평화지도 기획과 구현을 중심으로->, ≪사학연구≫ 145, 2022
  • <DMZ 접경지역과 북한의 전후 복구>, ≪통일과 평화≫ 13집1호, 2021
  • “Reclaimed areas and newly liberated areas: Understanding the borderlands of division as the testing grounds for reunification,” ASIAN JOURNAL OF PEACEBUILDING 8-2,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2020
  • <1950년대~1960년대 민간인통제선(CCL)의 변화와 ‘민북(民北)마을’의 형성>, ≪북한연구학회보≫ 24-1, 2020
  • <‘유엔사 규정’(UNC Reg.)과 유엔군사령부의 비무장지대(DMZ) 관리>, ≪사회와 역사≫ 125, 2020
  • <1960년대 비무장지대(DMZ)의 무장화 과정과 배경>, ≪사학연구≫ 135, 2019
  • <해방 직후 황해도 신천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기독교계의 대응>, ≪교회사연구≫ 54, 2019
  • <북한의 인민 만들기와 감정 정치 -‘신해방지구’ 『개성신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35, 2018
  • <남북한 ‘수복지구’·‘신해방지구’ 주민 편입 비교―국민/인민 전환을 중심으로>, ≪역사비평≫ 123, 2018
  • <북한의 ‘신해방지구’ 주민 편입 정책과 그 특징>, ≪역사문제연구≫ 36, 2016
  • <두 번의 토지개혁과 냉전: 한국전쟁 前後 ‘38선 이북 수복지구’ 인제의 토지소유구조 변화>, ≪이화사학연구≫ 51, 2015
  • <남・북한의 ‘수복지구’와 ‘신해방지구’ 편입 비교-영토 점령과 제도 이식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70, 2015
  •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주한미군의 정권 이양 과정 및 의미>, ≪동방학지≫ 164, 2013
  • <‘봉기’와 ‘학살’의 간극: 황해도 신천 사건>, ≪이화사학연구≫ 46, 2013
  • <한국전쟁 이후 ‘收復地區’에서의 농지개혁법 적용 과정과 그 의미>, ≪한국근현대사연구≫ 62, 2012
  • <연구동향: 한국전쟁기 남한(유엔군)·북한의 점령통치에 대한 연구사 검토와 제언>, ≪역사와 현실≫ 84, 2012
  • <한국전쟁기 미국의 북한 점령정책과 통치권 문제-평양과 양양 지역의 행정조직 구성 비교->, ≪역사와 현실≫ 78, 2010
  • <‘수복지구’ 주민의 정체성 형성과정-‘인민’에서 ‘주민’으로 ‘주민’에서 ‘국민’으로>, ≪역사비평≫ 91, 2010
  • <유엔군사령부의 ‘수복지구’ 점령 정책과 행정권 이양(1950~54)>, ≪역사비평≫ 85, 2008
  • <1947~49년 인제군 개답(開畓)사업에 나타난 당·정의 역할과 인민노력동원>, ≪역사와 현실≫ 60, 2006
  • <총론: 강원도 인제군을 통해 본 해방 이후 북한사회>, ≪역사와 현실≫ 60, 2006
  • <1960년대 북한의 경제‧국방병진노선의 채택과 대남정책>, ≪역사와 현실≫ 50, 2003

 

사무실: 031-5176-2337

e-mail: mnc92@snu.ac.kr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