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한국인 41.1% “통일 필요하다” 전년 대비 상승…”李 정권으로의 교체 효과”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2025 통일의식조사’ 결과 발표
김도연 기자
입력 2025.09.30. 14:31
업데이트 2025.09.30. 15:32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원장 김범수)이 “이재명 정부로의 정권 교체 효과로 통일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통일평화연구원은 지난 7~8월 성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1대1 면접 조사를 실시한 ‘2025 통일의식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41.1%로 전년도(36.9%) 대비 4.2%p 증가했다. 반면 통일이 불필요하다는 응답은 30.4%로 전년도(35.0%) 대비 4.6%p 하락했다. 연구원은 “남북 관계 개선과 평화 공존을 강조하는 이재명 정부에 대한 기대감과 진보 정부로의 정권 교체 효과가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대북 정책에 만족한다는 응답도 증가했다. 응답자의 52.0%는 “정부 대북 정책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전년도 대비 8.9%p 증가한 수치다. 연구원은 “출범 3개월이 지난 이재명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표출된 결과”라고 했다.
대북 정책 현안에 찬성하는 비율은 현안별로 ‘개성공단 재가동’이 전년도 대비 21.8%p, ‘금강산 관광 재개’가 21.1%p, ‘대북 삐라 살포 금지’가 16.1%p 증가했다.
2025년 한국인들은 북한에 대해 적대적인 의식보다는 경계적인 의식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대북 적대 의식은 지난해 22.3% 대비 올해 18.9%로 완화됐고, 경계의식은 18.6%에서 22.9%로 높아졌다.
동시에 북한과 협력해야 한다는 의식은 감소했지만 북한을 지원해야 한다는 의식은 증가했다. 대북 협력 의식은 34.0%로 전년도(39.9%) 대비 5.9%p 감소했다. 반면 지원 의식은 17.8%로 전년도(10.8%) 대비 7.0%p 증가했다.
한편 ‘북한 정권이 통일을 원하지 않을 것’이라는 회의적 시각은 올해 83.1%로 조사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2년에는 이 같은 응답을 한 비율이 78.5%였으나 2023년 78.1%, 2024년 81.9%, 2025년 83.1%로 꾸준히 증가해왔다. 이에 대해 연구원은 “통일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 선언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한국인들은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회의적 시각과 “북한 인권 상황이 심각하다”는 비판적 시각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 중 89.7%는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 답했고, 응답자 중 82.5%는 “북한 인권 상황이 심각하다”고 답했다.
주변국 선호도와 관련해 상승세를 유지해 오던 미국과의 친밀감은 하락 추세에 들어섰고 일본에 대한 친밀감은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 대한 친밀감은 2023년 82.2%, 2024년 79.9%, 2025년 76.3%로 감소했다.
하지만 일본에 대한 친밀감은 2023년 8.1%, 2024년 9.2%, 2025년 11.4%로 꾸준히 상승했다. 일본을 협력 대상으로 인식한 비율도 25.%로 조사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한편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은 1일 오후 2시 ‘이재명 정부 출범과 신냉전 위기: 대북 정책 기대와 전망’이라는 주제로 학술회의를 열고 ‘2025 통일의식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학술회의에는 김택빈 국방대 교수, 박민주 국립통일교육원 교수, 송영훈 강원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등이 참석한다.
연구원은 지난 2007년부터 통일, 북한, 대북 정책, 주변국,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국민의 시각과 인식 변화를 조사해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