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통일학 연구총서 1권, “북한체제의 형성과 한반도 국제정치” 출간
김세균 외 7인 저, 북한체제의 형성과 한반도 국제정치, 서울대학교 출판부, 13,000원
이 책은 서울대학교 통일학 지원 사업에 의해 진행된 ‘북한의 체제변화, 대외관계 및 남북한 통합의 모색’이란 기획과제 연구의 첫 번째 성과물이다. 본 기획과제의 목표는 북한의 정치·경제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들을 포괄하고 북한의 대내외 정책, 남북관계 및 남북 통합 전략, 국제정치 영역들 간의 복합관계를 분석하는 기초 위에서 북한체제의 변화방향을 구명하고 남북한 통합의 전망과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공동 연구진은 첫째, 한반도 문제에 대한 국제정치적 변수의 역사성에 주목하는 과학적 분석틀을 제시하고, 둘째, 북한체제의 변화, 발전전략, 통일 및 외교 전략에 대해 객관적 분석을 시도하며 셋째, 기존의 통일방안, 남북 대결 및 협상 전략 경험에 대해 재검토함과 아울러 궁극적으로 남북한 통합 가능성을 타진하고 통합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책의 제 1부는 북한체제의 형성과 특징 문제에, 제 2부는 1970년대까지의 남북한 관계 및 한반도 국제관계의 정형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책에서 필자들은 기존 연구업적들에 대해 광범한 재평가를 시도하고 있으며 북한 및 통일 연구를 보다 이론적·정책적 지평 위에서 재조명하고 있다.
<목차>
서울대학교 통일학 연구총서를 내면서
머리말
1부 북한체제의 형성과 특징
제1장 북한의 ‘수령 중심의 당·국가 융합체제’의 성립과 공고화 과정 / 김세균
1. 서론
2. 북한식 사회주의 체제의 성립과 공고화 과정 및 특징
3. 수령 중심의 당·국가 융합체제의 성립과 공고화 과정 및 그 특징
4. 북한 정치체제의 강점과 문제점
5. 결론
참고문헌
제2장 북한 통치 이데올로기의 형성과 변화 / 유홍림
1. 서론
2. 자주정책노선으로서의 주체사상: 1955-1960년대 중반
3. 유일체제 이데올로기로서의 주체사상: 1967-1980년대
4. 체제위기와 주체사상의 변용: 1980년대 후반 이후
5. 결론
참고문헌
제3장 북한식 경제관리체제와 수령제의 형성: 신전통주의(Neotraditionalism)의 극대화 / 임경훈
1. 서론
2. 수령제: 인격적 지배 vs. 제도적 지배, 스탈린주의 vs. 탈스탈린주의?
3. 신전통주의와 ‘저발전 사회주의’가설
4. 북한 신전통주의의 극대화 과정
5. 북한과 루마니아 비교
6. 결론
참고문헌
제4장 ‘남북기본합의서’ 채택 이전까지의 남북한 관계 변화 연구: 통일방안을 중심으로 / 임종헌
1. 서론
2. 이승만-장면 정부 시기 남북한 관계
3. 박정희 정부 시기 남북한 관계
4. 전두환-노태우 정부 시기의 남북관계
5. 결론
참고문헌
2부 남북한 관계의 국제정치적 맥락
제5장 기회에서 교착상태로: 데탕트 시기 한미관계와 한반도의 국제정치 / 신욱희
1. 서론
2. 역사적 고찰
3. 한미공조의 한계
4. 결론
참고문헌
제6장 냉전기 북·중 관계의 형성과 운용의 동학 / 정재호
1. 서론
2. 북·중 관계의 형성: 1950년대의 동학(動學)
3. 중·소 분쟁과 1960년대 북·중 관계의 변동
4. 데탕트와 북·중 관계: 1970년대의 변환
5. 한국전쟁에서 1970년대까지의 북·중 관계: 장기적 함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제7장 세계적 차원에서 데탕트의 기원과 전개 / 전재성
1. 서론: 지역적 데탕트의 독특성
2. 데탕트의 세계적 배경: 1960년대 미·소간 냉전대립의 구조적 변화
3. 데탕트의 유럽적 기원
4. 닉슨 행정부의 ‘평화의 구조(structure of peace)’ 정책
5. 결론
참고문헌
제8장 미·중 대화에서 나타난 적수게임과 동맹게임: 한반도 사례와 베트남 사례 비교 연구 / 조동준
1. 서론
2. 적수게임 vs. 동맹게임
3. 미·중 대화의 적수게임
4. 미·중 대화의 동맹게임: 한반도와 베트남 사례 비교
5.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