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70년전 DMZ 마을은 어디로…시공간 넘나드는 DMZ 웹지도 나온다

미디어  2021.08.09

입력: 2021.08.08 16:54

통일부, ‘DMZ 평화지도’ 구축 공개 예정

최초로 역사·문화·생태 망라한 GIS 구축

DMZ 유네스코 등재 추진에도 탄력 전망

70년 가까이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된 비무장지대(DMZ)를 시대별, 공간별로 구석구석 들여다볼 수 있는 웹 지도가 공개된다.

 

▲ 경기 파주에서 본 북한 개풍군
서울신문DB

 

8일 통일부와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에 따르면, 통일부는 최근 ‘내가 만드는 DMZ 평화지도’라는 콘셉트로 DMZ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오는 12일 시연회를 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DMZ 지리정보뿐만 아니라 1910년대부터 현재까지 사라진 마을과 유적지, 숲과 동식물 등 접경 지역의 변천 과정과 생태 환경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이전에도 산림청에서 만든 DMZ 생태문화지도 등이 있었지만, 지리 정보에 역사·문화·생태 등을 종합한 지리정보시스템(GIS) 구축은 처음이다.

웹 지도는 사용자가 시간과 공간, 주제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DMZ의 다양한 모습이 펼쳐진다. 예컨대 ‘광복 이전시기’(시간)와 지리지형의 ‘마을/옛마을’(주제)을 선택하면 DMZ 지역에 분포했던 6886개의 마을이 나타난다. 1910년대 지형도에 있었지만, 지금은 사라진 마을들이다. 터만 남은 당시 교회나 관공서 등을 현재와 과거, 3D 복원 형태로도 볼 수 있다.

 

▲ ‘DMZ 평화지도’ 이미지
‘현재’와 ‘정전협정지도’를 선택했을 때 보이는 DMZ, 한강하구, 현재 행정구역 경계의 모습.
한모니까 교수 제공

구체적으로 광복 이전 시기부터 광복 직후(1945~1950년), 6·25 전쟁시기(1950~1953년), 냉전 시기(1953~1980년대), 평화전환시기(1990년~현재) 등 시간대별로 지역의 변화 과정을 볼 수 있고, 38선과 DMZ, 중립 수역인 한강하구 등 공간적으로도 구분해 볼 수 있다. 연구책임을 맡은 한모니까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교수는 “DMZ라고 하면 통상 접경 지역을 뭉뚱그려 얘기하지만 38선과 군사분계선, DMZ 사이에 조금씩 다른 특징이 있다”면서 “개성처럼 6·25 전쟁 전에는 남측 땅이었으나 전쟁을 거치며 북한에 편입된 땅들도 있는데 이런 변화의 흐름과 특징들을 한 눈에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세종실록지리지, 대동여지도부터 1910년대 지형도, 일제강점기 조사보고서, 미 국립문서관 정전협정지도 등을 복원해 행정 구역의 변화를 보여준 것도 의미있다. 주제별 항목에서는 지리지형, 역사문화, 통일평화, 생태환경 등 주제별로 나누고 이를 중분류(17개), 소분류(59개)로 세분화했는데, 여기에만 1만 2000여 건의 정보가 표출된다. 통일부는 강원 양구·인제·고성·철원 등 DMZ 지역에 살았던 주민들 대상으로 구술 채록도 진행할 예정이다.

 

▲ 비무장지대(DMZ)의 풍경
서울신문DB

‘DMZ 평화지도’는 문재인 대통령이 2019년 9월 유엔총회에서 ‘DMZ 국제평화지대화’ 구상을 밝히며 제안한 DMZ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데도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전망이다. 한 교수는 “DMZ는 남북 갈등과 냉전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지금은 자연이 공존하고 평화의 가치를 담고 있는 공간”이라며 “접경지역에 대해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연구나 정책도 심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https://m.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808500076&m_sub=msub_seoul_111&wlog_tag1=mb_seoul_from_index#csidxed02342d3d275c7ac62e72de9f9ba1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