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몽골의 체제전환과 동북아 평화지정학

평화인문학 총서  2021.10.18

[몽골의 체제전환과 동북아 평화지정학_백지운, 오르트나상, 크리스토퍼 블루스편(2021.10)]

유혈혁명을 거치지 않고 비교적 짧은 기간에 민주주의를 정착시킨 체제전환의 모범적인 사례, 몽골을 고찰하다.

이 책은 70년에 달하는 사회주의 체제를 종결하고 자본주의 체제로 전환한 몽골이 객관적인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원대한 지정학적 시야로부터 지역과 국제사회에서 자신의 역할과 위상을 구축해 가는 여정을 추적한다.

지리적 결정론에 굴복하지 않고 자신의 약점을 지렛대 삼아 더 큰 지정학적 시야를 선취함으로써 소국의 존재 방식을 구체적으로 구축해 온 몽골의 길은, 분단국의 약적을 딛고 더 멀리 도약하여 유라시아와 동북아를 하나로 잇는 ‘신북방시대’의 미래를 구상하는 한국에 의미심장한 참조를 제공한다.

[목차]

발간사

머리말

서장 대륙의 섬에서 평화의 연결자로(백지운) 

  1. 소환되는 유목 DNA
  2. 내륙국가에서 연결국가로
  3. 소국의 원대한 꿈

제 1부 몽골 체제전환의 패러다임

제1장 전환기 몽골의 외교정책 변화(엥흐사이항)
1. 서론
2. 몽골과 몽골인
3. 제국에서 소국으로
4. 몽골의 현재
5. 몽골과 남북한의 관계
6. 몽골 비핵지위의 제도화
7. 결론

제2장 몽골의 ‘제3의 이웃정책’  패러다임(울람바야르)
1. 몽골 외교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2. ‘제3의 이웃 정책’: 목적과 성격
3. 몽골에 대한 이웃 국가의 입장
4. 결론

제3장 민주주의로의 전환: 1992년 몽골 헌법과 국가안보(시스미식)
1. 서론
2. 헌법과 국가 존립의 안보
3. 국내안보
4. 경제안보
5. 국가 안보 기구와 법률적 규제 
6. 국가 안보를 위한 비국가 시스템

제4장 ‘평화로운 격변’은 어떻게 가능했나?: 몽골의 체제전환과 신엘리트의 성격(김학재)
1. 서론: 평화로운 변화는 가능한가?
2. 사회주의 엘리트와 비교 사회주의 연구
3. 포용적 레닌주의와 당의 유연화: 인사제도와 신흥 엘리트의 기원
4. 교육제도의 변화와 엘리트의 지향
5. 엘리트 그룹의 특성: 기술관료와 지식인들
6. 북한에 대한 함의

제 2부 몽골과 그 이웃 나라들

제5장 몽중관계의 과거와 현재(이평래)
1. 위험한 중국과 나쁜 중국인
2. 역사 속의 몽중관계
3. 체제전환 이후 몽중관계
4. 현재의 몽중관계
5. 결론

제6장 몽골의 체제전환과 러시아: 러·몽 관계사를 중심으로 (이문영)
1. 러시아, 고마운 형님 혹은 저주스런 정복자
2. 최초의 조우: ‘몽골-타타르의 멍에’와 범몽골주의으이 공포
3. 근대 몽골 독립의 보증자, 러시아
4. 몽골과 스탈린: 몽골 주권의 국제적 인정과 소련의 전략
5. 몽골의 소비에트화: ‘아시아의 작은 소련’
6. 몽골의 탈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러시아 요소
7. 21세기 몽골의 미래와 러시아

제7장 몽골의 체제전환 모델과 북한(김병로, 바바르)
1. 약소국 몽골의 생존력
2. 몽골과 북한의 전통적 우호
3. 탈냉전 이후 몽골·북한 관계
4. 탈사회주의 체제전환 경험과 몽골·북한 관계
5. 평화의 중재자

제 3부 비핵화로 가는 먼 길

제8장 몽골 안보의 도전: 생존안보와 경제안보를 중심으로(김성철)
1. 서론
2. 국가안보의 개념과 ‘다원적 연루전략’의 발전
3. 생존안보: 단독국가 비핵지대화 노력을 중심으로
4. 중국의 부상과 경제안보 리스크
5. 결론

제9장 핵의 세계에서 몽골의 국익 추구하기(엥흐사이항)
1. 서론
2. 몽골의 지정학적 현실
3. 핵무기에 대한 몽골의 도전
4. 자국 영토를 비핵지대로 선언하다
5. 비핵지대화에 대한 광범위한 정치적 지원
6. 합법적 비핵지대 지위를 얻기 위한 UN 총회 참가
7. 결론

제10장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안보 위기: 강대국 사이에 위치한 몽골(크리스토퍼 블루스)
1. 서론
2. 동북아시아 지정학의 변화된 역동성
3. 떠오르는 안보문제
4. 한반도의 위기
5. 일본
6. 동북아시아의 안보 환경과 몽골

제 4부 발전인가 환경인가, 체제전환 이후의 새 도전

제11장 몽골 환경운동의 역사와 특성(쿨란, 윤순진)
1. 서론
2. 사회주의 시대(1911~1990년)의 정치경제와 환경운동
3. 자본주의 시대 정치경제와 환경운동
4. 몽골 환경운동의 현재: 시민환경 운동의 좌절
5. 결론

제12장 ‘지속가능성’의 딜레마: 포스트 사회주의 몽골 유목경제와 양모산업(주윤정)
1. 포스트사회주의 몽골의 사회변화
2. 포스트사회주의 몽골의 유목경제와 유목문화
3. 몽골의 양모산업과 시장화
4. 포스트사회주의 몽골의 양모 및 공예 산업의 특성
5. 지속가능성의 딜레마

첨부파일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