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9~2007 남북통합지수
책 소개
남북통합지수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남북 간의 관계 진전을 지나치게 정치적으로 평가하거나 이념적으로 논의하지 않고 그 실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또한 남북통합지수는 남북통합의 과정에서 남한은 물론이고 북한이 어떤 변화를 수반해야 할 것인지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남북통합지수는 남북한 간의 요소만을 반영한 제한된 것이 아니라 북한 요인, 남한 요인, 남북한 간 요인, 그리고 국제환경 요인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며, 동시에 제도와 현상, 그리고 의식 등 다층적인 면을 동시에 측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만일 이런 설계가 성공적으로 수행된다면 남북통합지수는 남북관계 개선의 정도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과정을 계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서 상기한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적절한 남북통합지수의 개발과 활용은 그 동안 통일이라는 당위성 때문에 실제 과정인 통합에 대한 논의를 소홀했던 경향을 반전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남북통합지수는 남북관계를 통합의 큰 과정 속에서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것을 다시 정책에 피드백하는 틀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및 역자 소개
김병로
남북통합지수, 1989~2007(서울대출판문화원, 2009.08.10) 외 다수
김병연
사회대 경제학부
남북통합지수, 1989~2007(서울대출판문화원, 2009.08.10) 외 다수
박명규(朴明圭)
서울대학교 사화과학대학 사회학과 교수
남북통합지수, 1989~2007(서울대출판문화원, 2009.08.10)
식민권력과 통계(서울대출판문화원, 2004.03.30)
한국근대국가형성과 농민(1997)
현대사회학의 이해(공저, 1997)
외 다수
정은미
남북통합지수, 1989~2007(서울대출판문화원, 2009.08.10)
한국근대국가형성과 농민(1997)
현대사회학의 이해(공저, 1997)
외 다수
목차
서울대학교 통일학 연구총서를 내면서
머리말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통합지수의 중요성
3. 남북통합지수의 기대효과
제2장 남북통합지수 개발 방법론
1. 통합의 영역
2. 통합의 측정과 통합의 단계
3. 지수 개발의 방법
제3장 경제영역 남북통합지수
1. 경제통합의 개념과 경제통합지수의 개발
2. 경제통합지수의 작성
제4장 정치영역 남북통합지수
1. 정치통합의 개념과 정치통합지수의 구성
2. 정치통합지수의 작성
제5장 사회문화영역 남북통합지수
1. 사회문화통합의 개념과 사회문화 통합지수의 구성
2. 사회문화 통합지수의 작성
제6장 의식통합지수
1. 의식통합의 개념과 지수 개발
2. 분야별 의식통합의 작성
제7장 전체 통합지수
1. 전체 통합지수의 작성과 해석
2. 2007년 남북통합직수의 산출과 평가
3. 남북통합지수의 시계열 추이
4. 종합평가와 적용
제8장 결론
1. 남북통합지수로 본 2007년 현재의 남북관계 수준
2. 해석
3. 정책적 함의
4. 지수의 활용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