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제83차 국내학술회의] DMZ 평화지도 포럼

통일학  국내학술회의  2021.08.27

 

행사내용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김병연 원장)은 통일부의 의뢰를 받아 “DMZ 현황연구와 종합지도 제작”을 진행하고 그 결과로 〈DMZ 평화지도〉를 만들었다. 완성된 〈DMZ 평화지도〉를 공개하고, 그 의미와 가능성을 토론하기 위한 목적으로, 통일부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이 공동 주최하는 포럼이 8월 12일(목) 비대면 화상회의(ZOOM)로 개최됐다.

학술회의는 3부로 구성됐다. 1부는 〈DMZ 평화지도〉 공개 기념행사로, 김병연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원장과 박철 통일부 교류협력실장의 환영사, 감사패 수여, 김인걸 국사편찬위원장과 사공호상 국토지리정보원장의 축사, 연구책임자인 한모니까 교수에 의한 〈DMZ 평화지도〉의 주요 특징 및 제작 과정 등에 대한 소개 및 시연이 이어졌다.

2부는 주제 발표로 다섯 명의 연구원이 다섯 개의 주요 주제에 대해서 발표했다.

‘DMZ 문화유산의 현황과 남북 교류협력’을 주제로 발표한 강호선 교수(성신여대)는 한반도 중부지역의 역사적 의미를 보여주는 DMZ 일원의 유산들을 근대기 이후의 여러 사료 및 보고서를 통해 DB를 구축하고 지도에 구현한 과정에 대해 소개하고, 이것이 향후 남북교류협력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말했다.

이어 전종한 교수(경인교대)는 ‘DMZ의 옛 마을과 남북의 지리적 연결성’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DMZ 내에 있던 5개의 옛 고을 중심지였던 조선의 읍치와 그 풍경, 그리고 근대이행기 이전까지 한반도 교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포구마을 등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통해 국토의 지리적 연결성과 옛 삶터의 경관 가치를 말했다.

‘사라진 마을 철원의 건축물 3D 복원’을 주제로 발표한 김하나 연구원(서울대)은 분단으로 사라져 버린 근대기 마을과 그 시설들을 소개하고, 이러한 마을을 더욱 생생하게 상상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건축물을 3D로 복원하는 과정과 방법, 그 가능성에 대해 소개했다.

김병로 교수(서울대)는 ‘갈등과 충돌의 현장에서 평화공간으로’란 주제발표를 통해 갈등과 충돌이 일어난 아픔의 장소인 DMZ를 공간 기획을 통해 평화구축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해온 역사와 노력,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해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한강하구 생태환경과 남북 교류협력’에 대해 주제발표를 한 김승호 소장(DMZ 생태연구소)은 한강하구의 생물다양성이 높은 생태환경과, 이를 통한 남북 교류협력의 가능성에 대해 소개했다.

 

3부는 종합토론 세션으로 △정병국 책임연구원(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전 국회의원), △천해성 책임연구원(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통일부 전 차관), △김용현 교수(동국대), △김진환 교수(국립통일교육원), △양영조 부장(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노현균 팀장(경기문화재단 문화유산팀), △권동혁 과장(통일부 남북접경협력과), △홍석광 과장(기획재정부 남북경제과)이 〈DMZ 평화지도〉의 의미와 활용이라는 주제로 토론을 진행했다.

토론자들은 <DMZ 평화지도>의 독창성과 균형감, 조화로움이 아주 많은 상상력을 자극하며, DMZ의 가치를 잘 보여주고 있어서, 향후 다방면에서의 많은 활용을 기대하였다. DMZ 연구의 다각화 및 심화, 다양한 교육 현장과 관광에서의 활용, 통일‧평화 정책 수립, 세계유산등재 추진 등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그리고 한국에서만이 아니라 DMZ‧한반도‧한국문화에 관심 있는 세계 각국인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하며 영문 팜플릿의 해외 대사관 배포 등을 제안하기도 했다. 또한, <DMZ 평화지도>의 지속적이고 다양한 활용을 위해서는 향후 꾸준한 관리와 업데이트 등의 중요성을 토론하였다.

 

행사사진 

 

 

[감사패 수여]

 

 

[환영사 및 축사]

 

[지도 시연 및 발표]

[3세션 토론]

 

 

 

[팜플렛(국영문)]

 

1세션(환영사, 지도 시연) 영상보기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