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2007년부터 매년 1회 통일의식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통일의식조사의 raw data는 아래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본 자료를 활용하실 경우 반드시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에서 실시한 통일의식조사 자료임을 명기해 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또한 본 자료를 활용하여 학술논문, 보고서, 기사, 도서, 기타 발간물 등을 출간하신 경우 데이터 이용 현황 파악을 위해 tongil@snu.ac.kr로 발간 사실을 알려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4 | James D. Kim. “The Long-run Impact of Childhood Wartime Violence on Preferences for Nuclear Proliferation.” Th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68(1), (2024): 108-137. |
Yewon Kwon, Kyung Suk Lee. “Revisiting inter-Korean events and South Koreans’ perception on unification.” Social Science Quarterly, (2024): 1-17. | |
강동선, 우경봉. “통일의식에 대한 코호트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분석과 대안 8(2), (2024): 31-64. | |
2023 | Kyung Suk Lee. “The Microfoundations of Nuclear Proliferation: Evidence from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35(4), (2023): 1-12. |
이문영. “한국 청년세대의 중국 및 일본 인식: 국내 언론 보도의 사실 정합성 검토를 중심으로.” 통일과 평화 15(1), (2023): 289-319. | |
이재현. “한국사회의 남남갈등과 한반도 평화・통일 인식 연구 : 통일의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치학회보 13(2), (2023): 71-94. | |
최장현. “통일 이미지 인식변화 및 통일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통일의식조사결과를 중심으로-.” 민주평화연구 6(2), (2023): 119-142. | |
2022 | 김규철. “한국 국민의 통일의식은 남북관계에 영향을 받는가?.” 통일과 평화 14(2), (2022): 39-78. |
김범수,김병로,김성희,김학재,이성우,최은영,황수환,김민지 2022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2. | |
백승지. “남한 주민들은 북한이탈주민을 어떻게 보는가?: 국민정체성과 경제적 요인의 교호 작용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22. | |
서민진, 김병연, 이정민. “통일 필요성 인식에서의 거주지 효과.” 통일과 평화 14(2), (2022): 79-115. | |
정승호, 조용신, 김규철. “반이민 정서 모형을 이용한 부정적 통일의식 분석.” 통일과 평화 14(2), (2022): 7-38. | |
2021 | 김나영. “북한 및 탈북민 접촉경험이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 탈북민 친밀감과 북한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 no.8 (2021): 489-197. |
김범수, 김병로, 김병연, 김학재, 이성우, 최은영, 황수환, 최현정. 2021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1. | |
김병연, 정승호, 김성희. “남한·북한이탈주민의 국민정체성: 통독 사례와의 비교.” 통일과 평화 13 no.1 (2021): 293-335. | |
김상용. “통일의식이 긍정적 통일감정에 미치는 영향: 통일교육의 매개효과.” 평화학연구 22 no.3 (2021): 81-99. | |
김유나, 문국경. “남한주민의 사회적 거리감이 북한이탈주민의 국민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학교통일교육 학습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2 no.3 (2021): 23-42. | |
신종섭. “진화심리학을 활용한 통일의식 분석과 통일교육 방법 연구.” 초등도덕교육 no.72 (2021): 127-161. | |
한승조, 배영민. “북한에 대한 인지편향(기준점편향) 이 통일인식에 미치는 영향.” 융합보안 논문지 21 no.1 (2021) 201-208. | |
홍명숙, 정민섭, 박상혁. “국민 통일의식의 변천에 관한 연구: 경로 의존성 이론을 중심으로.” 공공정책연구 38 no.1 (2021): 1-26. | |
2020 | 김병철. “북한에 관한 언론의 보도 태도가 대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4 no.3 (2020): 40-60. |
김희정. “통일에 대한 감정구조 유형화 연구.” 인문사회 21 11 no.1 (2020): 1801-1816. | |
이성우. “한반도 정세 변화에 따른 북한 관련 인식태도: 2018년과 2019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36 no.4 (2020): 109-135. | |
임경훈, 김학재, 김범수, 김병로, 김희정, 박원호, 이종민, 최규빈, 최현정. 2020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0. | |
정진리, 유가현. “국민정체성 인식과 접촉 경험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적 접근의 필요성.” 다문화교육연구 13 no.3 (2020): 85-111. | |
정진원. “한국정부의 북한인권 문제 제기에 대한 개인 태도 결정요인, 2009-2018.” 평화학연구 21 no.2 (2020): 93-117. | |
홍명숙. “국민 통일의식의 변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0. | |
2019 | 구본상, 최준영. “변화하는 한반도 환경하에서의 우리 국민의 통일인식 분석: 현대적 성차, 국가 자부심, 통일효용 인식.” OUGHTOPIA 34 no.1 (2019): 43-75. |
구본상, 최준영. “통일의식에서의 영호남 지역 차에 대한 경험적 분석.” 분쟁해결연구 17 no.2 (2019) 107-135. | |
김학재, 강채연, 김범수, 김병로, 김희정, 이성우, 최규빈, 임경훈, 조용신. 2019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9. | |
박현주. “지지정당 차이에 따른 보훈의식 영향요인 비교.” 공공사회연구 9 no.2 (2019): 59-82. | |
정진원.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결정요인.” 사회과학연구 30 no.1 (2019): 155-182. | |
2018 | 강창원. “교육공동체 활동을 통한 통일의식 개선방안 연구: 통일동아리와 숙의민주주의 교육모델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
김희정, 김선. “세대별 통일의식과 통일교육 : 통일의식조사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9 no.6 (2018): 1,643-1,654. | |
왕성성. “Dynamics of South Koreans’ Perceptions on China: Interactions among regime, region and political ideology.” 박사학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 |
이성우, 임재형. “평화가치관의 변화에 대한 경제·정치요인의 영향: 시계열방법을 활용한 통일 및 대북정책의 여론 동향분석.” 국제지역연구 22 no.3 (2018): 263-296. | |
정동준, 김선, 김희정, 나용우, 문인철, 송영훈, 최규빈, 임경훈, 이정옥. 2018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8. | |
조정아. “2030 세대의 통일의식과 통일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통일교육연구 15 no.2 (2018): 21-45. | |
2017 | 김병로. “남북관계의 사건이 통일의식에 미치는 효과.” 통일과 평화 9 no.2 (2017): 157-184. |
김선, 김희정, 임수진. “통일당위성 담론유형 집단별 특성과 통일교육적 함의.” 교육문화연구 23 no.6 (2017): 27-48. | |
윤민재. “한국사회의 이념적 갈등과 특징: 세대별 통일문제 인식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8 no.5 (2017): 831-850. | |
정근식, 김선, 문인, 송영훈, 정동준, 조동준, 천자현, 황정미, 김희정, 이정옥, 임수진. 2017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7. | |
정동준. “경제평가가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2007-2017년 통일의식조사 설문결과 분석.” 담론 201 20 no.3 (2017): 157-195. | |
2016 | 백승대, 안태준. “청소년의 국민정체성이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24 no.1 (2016): 39-58. |
임대규. “빅데이터를 활용한 통일의식 분석 연구.” 석사학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 |
정근식, 김병로, 장용석, 정동준, 최규빈, 김병조, 송영훈, 황정미, 황창현. 2016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통일평화연구원, 2016. | |
정동준. “2016년 국회의원 선거 이후 시민들의 통일의식 변화: 이념적 양극화인가, 당파적 편향인가?.” 한국정치학회보 50 no.5 (2016): 131-161. | |
조은희. “대학 통일교육 현황과 사례: 숭실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0 no.1 (2016): 107-141. | |
최규빈. “남북한 주민의 주변국 인식 비교: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과 평화 8 no.1 (2016): 109-143. | |
황정미. “사회적 위협 인식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 아태연구 23 no.2 (2016): 311-346. | |
2015 | 권수현 , 송영훈. “피를 나눈 형제, 이웃보다 못한 친척?: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주민의 사회적 거리감과 결정요인, 2007-2014.” OUGHTOPIA 30 no.2 (2015): 123-160. |
김병조. “한국인의 통일인식 2007-2015: 세대별 격차와 세대내 분화.” 통일과 평화 7 no.2 (2015): 3-41. | |
안림정. “통일과 북한에 대한 한국국민 인식의 지역별 차이.” 석사학위,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15. | |
이승철. “통일의식조사 비교 연구: IPUS와 KBS 조사를 중심으로.” 도덕윤리과교육 no.47 (2015): 133-162. | |
이성우. “한국인의 대북정책에 대한 평가와 남남갈등의 가능성: 2007-2014.” 분쟁해결연구 13 no.3 (2015): 225-256. | |
2014 | 김병로. “통일환경과 통일담론의 지형 변화: 정부통일방안을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26 no.1 (2014): 1-33. |
박균열, 송도선. “대학생과 성인의 통일의식 및 통일교육 시사점.” 통일전략 14 no.2 (2014): 135-159. | |
박명규, 정은미, 김병로, 최규빈, 장용석, 김병조, 강원택, 황정미. 2014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통일평화연구소, 2014. | |
이내영. “한국인의 통일의식의 결정요인: 새로운 분석모델의 모색.” 평화연구 22 no.1 (2014): 167-206. | |
허석재. “세대교체와 북한인식의 변화.” 평화연구 22 no.2 (2014): 73-112. | |
2013 | 박균열. “통일관련 여론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통일전략 13 no.3 (2013): 185-216. |
박명규, 김병로, 송영훈, 장용석, 정은미.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통일평화연구원, 2013. | |
박명규, 김병연, 김병로, 정은미. 남북통합지수 2008-2013 변동과 함의.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 |
송영훈, 권수현. “대북정책에 대한 개인선호 결정요인.” 아세아연구 56 no.1 (2013): 146-177. | |
이상신. “우리는 북한을 신뢰할 수 있는가?: 여론조사 데이터로 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한국정치학회보 47 no.4 (2013): 113-134. | |
이성우. “통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통일여건의식의 상호관계: LISREL을 통한 구조방정식모델 분석.” 통일과 평화 5 no.1 (2013): 115-153. | |
정은미. “남북한 주민들의 통일 의식 변화: 2011-2013년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과 평화 5 no.2 (2013): 74-104. | |
2012 | 김병로, 최경희. “남북한 주민의 통일의식 비교 분석.” 통일과 평화 4 no.1 (2012): 101-139. |
송영훈, 권수현. “남북관계와 대북정책, 대북정책에 대한 개인선호 결정요인: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 비교.” 북한연구학회 (2012). | |
박명규, 강원택, 김병로, 송영훈, 이수정, 장용석.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통일평화연구소, 2012. | |
정은미, 송영훈. “북한주민의 통일의식과 남한사회의 수용성.” 통일문제연구 24 no.1 (2012): 221-254. | |
2011 | 권영승, 이수정. “글로벌·다문화 사회의 통일의식: N세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다문화 1 no.2 (2011): 1-38. |
권영승. “N세대 대학생의 통일의식에 대한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북한대학원대학교, 2011. | |
박명규, 김병로, 강원택, 정은미, 이상신, 박정란. 2011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11. | |
2010 | 박명규, 김병로, 강원택, 박정란, 정은미, 이상신. 2010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10. |
은기수. “통일과 북한에 관한 사회조사의 동향과 실태.” 통일과 평화 2 no.2 (2010): 35-75. | |
이상신. “정부신뢰의 위기: 천안함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44 no.4 (2010): 97-117. | |
2009 | 김병로. 통일의식 변화와 국민통합을 위한 대북정책 방향. 전북: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
김병조. “민주화 선호경향과 통일의식 간의 관계 분석: 통일정책에 대한 한 제언.” 통일과 평화 1 no.2 (2009): 63-102. | |
박명규, 김병로, 김병조, 박정란, 정은미, 이상신. 2009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09. | |
2008 | 박명규, 김병로, 김병조, 박영호, 정은미. 2008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08. |
2007 | 김병로, 김병조, 박명규, 서호철, 은기수, 정은미. 2007 통일의식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