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평화학 포럼(IPUS Peace Studies Forum)은 평화 연구와 관련하여 저명한 연구자 및 시민사회, 공공 및 민간 분야에서 평화 의제로 활동 중인 연사를 초청하여 다양한 주제에 대한 발표 및 토론을 정기적으로 진행한다. 평화학 포럼은 평화 이론, 실천, 정책 등 다양한 스펙트럼을 포용하며 글로벌과 아시아 평화학, 동서양의 평화학을 논함으로써 평화 연구에 대한 지평을 넓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제19차 평화학포럼] 한국 이행기 정의의 현실과 미래

2023.07.27

  일시: 2023년 7월 20일 목요일 17:00 – 18:40 장소: 온라인 화상회의(ZOOM) 사회: 임수진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연사: 정근식 (서울대 명예교수/ 前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장/ 前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장) 주제: 한국 이행기 정의의 현실과 미래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정근식 서울대 명예교수를 모시고 2023년 7월 20일 목요일 ‘한국 이행기 정의의 현실과 미래’라는 주제로 제19차 평화학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는 임수진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이 사회를 맡았고, 환영사와 함께 포럼의 포문을 열었다. 정근식 교수는 ‘1990년 이래 한국에서 과거청산, 또는 이행기 정의 프로젝트가 30년간 지속되어 왔음에도 사죄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정치문화의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았는가’에 대한 물음을 바탕으로 지금까지의 한국 이행기 정의의 성취와 앞으로의 과제를 검토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우선, 정근식 교수는 “한국 이행기 정의(transitional justice)는 ‘이행기’의 관점에서 권위주의에서 민주주의로의 전환, 더 나아가 탈식민적 요소, 탈전쟁적 요소 등을 포괄하는 복합적 차원의 이행을 뜻하며, ‘정의’의 관점에서 응보적 정의와 회복적 정의의 의미가 혼재되어 있다”고 말했다. 이에 이행기 정의의 연구방법에서 “이행기 정의와 관련한 경험적 연구자료가 적다”는 한계를 제기했고, 이행기 정의의 효과를 설명하며 “실질적으로⋯

[제18차 평화학포럼] 적극적 평화, 전략적 평화를 위하여: 복합학으로서 평화학

2023.06.29

  일시: 2023년 6월 22일 목요일 17:00 – 18:30 장소: 온라인 화상회의(ZOOM) 사회: 윤지현 (통일평화연구원 평화학센터장/ 서울대 식품영양학과 교수) 연사: 김태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주제: 적극적 평화, 전략적 평화를 위하여: 복합학으로서 평화학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김태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를 모시고 2023년 6월 22일 목요일 ‘적극적 평화, 전략적 평화를 위하여: 복합학으로서 평화학’이라는 주제로 제18차 평화학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는 윤지현 통일평화연구원 평화학센터장 겸 서울대 식품영양학과 교수가 사회를 맡았고, 환영사와 함께 포럼의 포문을 열었다. 김태균 교수는 평화학의 정체성을 정의하기 위한 여러 물음을 던지며 “평화학은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학문의 성격을 띤다”고 강조했다. 이어 평화학의 계보를 국가중심 접근, 인간중심 접근, 구조비판 접근의 세 가지 접근법으로 나누어 분류했는데, “냉전기 평화학은 각 접근법마다 민주평화론, 적극적 평화, 사회변혁론으로 정립되었고, 냉전 종식 후에는 평화학이 보호책임론(R2P), 기후변화대응,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등으로 복합화하는 현상이 일어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태균 교수는 평화학의 다양한 범주를 소개하며 “이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은 2016년 UN에서 만들어진 ‘지속가능한 평화(sustaining peace)’”라고 설명했다. 이는 “1990년대 평화구축의 개념이 분쟁이후 단계에 적용되는 평화구축으로 인식되었다면 2000년대⋯

[제10차 평화학포럼] ESG는 유행인가

2021.10.28

일시: 2021년 10월 28일, 목요일 14:00~16:00 장소: ZOOM 화상회의로 진행 주제: ESG는 유행인가 연사: 김화진 서울대학교 법학대학원 교수 영상보기 ——————————————————————————————————————————————————————————————————————————————————————————————– 행사내용 10월 제10차 평화학 포럼은 구민교 교수의 사회로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김화진 교수를 초청하여 “ESG는 유명인가”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ESG는 각각 Environmental Responsibility(환경경영), Social Responsibility(사회책임경영), 그리고 Governance(기업지배구조)의 약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종 목표는 “지속가능경영”이다. 즉 주주만이 아닌 전체 이해관계자를 배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는 1960년대와 70년대 인종분리정책을 고수하는 남아공 정권과 거래하는 기업들에 대한 투자를 억지하는 성공을 처음으로 거두었다. 하지만 워렌 버핏처럼 ESG에 대해 회의적인 생각을 가진 이들도 존재한다. 김화진 교수는 ESG가 어떻게 구체적으로 기업의 회계원칙에 반영되어서 회계장부에 등장하느냐 이것이 가장 중요한 관건이고 만약 이것이 실패하면 ESG는 한때의 유행으로 끝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였다. 행사사진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