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제87차 국내학술회의] 북한이탈주민 조사사업 10년 분석 결과발표회

2022.05.03

[행사 영상] [행사 내용]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김병연 원장)은 2022년 4월 25일(월) 09:30-18:00에 북한이탈주민 조사사업 10주년을 맞아 <북한이탈주민 조사사업 10년 분석 결과발표회>를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아시아연구소 삼익홀에서 개최한다. 이번 결과발표회는 비대면 화상회의(ZOOM) 링크와 Youtube 중계를 통해서도 참여할 수 있다. □ 북한주민의식조사는 2008년부터, 북한사회변동조사는 2012년부터 통일평화연구원이 조사 직전 연도에 북한에서 나온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는 북한의 시장화, 정보화, 사회분화, 주민 통일의식 등에 대한 조사이다. □ 이번 결과발표회는 통일평화연구원에서 매년 출간하는 <북한주민 의식조사>와 <북한사회변동>의 10년 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발표회로, 1-2부(09:30-14:55) 세션인 <김정은 집권 10년, 북한주민 의식조사>와 3-4부(14:55-18:00) 세션인 <북한사회변동 2012-2020>으로 나뉜다.   □ 1-2부 세션인 <김정은 집권 10년, 북한주민 의식조사>에서는 이정철 교수(서울대 정치외교학부)의 사회로 △통일인식, △대남인식, △북한체제인식, △주변국관계인식, △심화분석-북한경제실패 인식, △남한적응실태에 대한 발표 후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강원택 교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최장호 연구위원, 북한대학교대학원 이우영 교수, 서울대 국제대학원 한정훈 교수, 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 송현진 박사의 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 통일 인식, 김학재 교수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 북한의 통일여론은 남한사회에 비해 매우 높은 편으로, 민족주의적 당위와 북한도 잘⋯

2021 서울대학교 통일기반구축 연합학술대회

2021.12.08

2021 서울대학교 통일기반구축 연합학술대회 일시: 2021년 11월 29~30일(월~화) 11:00~18:00 장소: 서울대 시흥캠퍼스 교육협력동+ 온라인(ZOOM) 화상회의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김병연 원장)은 2021년 11월 29일과 30일 양일에 걸쳐 「2021년 통일·평화기반구축사업 연합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o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통일·평화기반구축사업’을 통해, 모든 분과학문이 통일과 평화 연구에 참여하는 플랫폼을 구축해왔다. 지난 7년간 총 212개의 사업이 진행되었고, 각 사업팀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통일학, 평화학의 지평을 세계적 차원으로 확장하고 인문사회계와 이공계를 아우르는 초학제적 학문으로 발전시켜나가고 있다. o 2021년 올해에는 13개의 개인 단위 사업과 17개 기관 단위 사업, 총 30개 사업이 연구를 진행중이었고, 한해 동안 진행한 연구 결과물을 이번 학술대회에서 발표하였다. o 11월 29일(월)에는 11시 개회식(장소: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교육협력동 1층 대강의실)을 시작으로, 13시부터 18시까지 대면과 비대면으로 총 16개 세션으로 나뉘어 연구 결과물을 발표하고 이어 11월 30일(화)에는 10시부터 15시까지 비대면으로 총 15개 세션으로 나뉘어 연구 결과물을 발표하였다.  

[제84차 국내학술회의] 통일과 평화, 시대와 세대앞에 서다

2021.10.07

행사내용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김병연 원장)은 2021년 10월 5일 오후 1시 「통일과 평화, 시대와 세대 앞에 서다」라는 제목으로 학술회의를 열고「2021 통일의식조사」의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본 학술회의는 다음과 같이 3개 순서로 구성된다. 1부에서 주요 조사 결과 발표 및 토론이 이루어지며, 2부에서는 조사자료에 기반하여 △주변국 인식과 한반도 문제 인식 사이 상관관계, △통일의식과 대북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심화 분석 내용을 다루었다. 3부에서는 라운드 테이블을 통하여 △정재호 교수(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김준형 교수(한동대 국제지역학, 전 국립외교원장)가 미중경쟁 시대의 통일과 평화에 관해 토론을, △오승희 박사(서울대 일본연구소), △김성희 교수(수원대 경제학부)가 MZ세대의 통일과 평화 인식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였다. 「2021 통일의식조사」의 주요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o (통일의식) 통일의 필요성과 가능성, 통일 후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기대감 등에 있어 부정적 인식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2030세대를 중심으로 그 경향성이 두드러진다. –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44.6%로 조사 기간 중 최저치를 기록하였으며,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29.4%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대의 경우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이 42.9%, 30대는 34.6%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다. o⋯

[제83차 국내학술회의] DMZ 평화지도 포럼

2021.08.27

  행사내용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김병연 원장)은 통일부의 의뢰를 받아 “DMZ 현황연구와 종합지도 제작”을 진행하고 그 결과로 〈DMZ 평화지도〉를 만들었다. 완성된 〈DMZ 평화지도〉를 공개하고, 그 의미와 가능성을 토론하기 위한 목적으로, 통일부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이 공동 주최하는 포럼이 8월 12일(목) 비대면 화상회의(ZOOM)로 개최됐다. 학술회의는 3부로 구성됐다. 1부는 〈DMZ 평화지도〉 공개 기념행사로, 김병연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원장과 박철 통일부 교류협력실장의 환영사, 감사패 수여, 김인걸 국사편찬위원장과 사공호상 국토지리정보원장의 축사, 연구책임자인 한모니까 교수에 의한 〈DMZ 평화지도〉의 주요 특징 및 제작 과정 등에 대한 소개 및 시연이 이어졌다. 2부는 주제 발표로 다섯 명의 연구원이 다섯 개의 주요 주제에 대해서 발표했다. ‘DMZ 문화유산의 현황과 남북 교류협력’을 주제로 발표한 강호선 교수(성신여대)는 한반도 중부지역의 역사적 의미를 보여주는 DMZ 일원의 유산들을 근대기 이후의 여러 사료 및 보고서를 통해 DB를 구축하고 지도에 구현한 과정에 대해 소개하고, 이것이 향후 남북교류협력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말했다. 이어 전종한 교수(경인교대)는 ‘DMZ의 옛 마을과 남북의 지리적 연결성’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DMZ 내에 있던 5개의 옛 고을 중심지였던⋯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