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제21차 평화학포럼] 여성과학기술인, 다양성과 포용성의 세계를 들여다보다

2023.12.08

  일시: 2023년 12월 7일 목요일 17:00-18:30 장소: 온라인 화상회의(ZOOM) 연사: 오명숙 ((사)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前 홍익대학교 신소재화공시스템공학부 교수) 사회: 윤지현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평화학센터장/ 식품영양학과 교수) 주제: 여성과학기술인, 다양성과 포용성의 세계를 들여다보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오명숙 (사)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을 모시고 2023년 12월 7일 목요일 ‘여성과학기술인, 다양성과 포용성의 세계를 들여다보다’라는 주제로 제21차 평화학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는 윤지현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평화학센터장이 사회를 맡았고, 환영사와 함께 포럼의 포문을 열었다. 이번 포럼에서 오명숙 회장은 ‘평화로운 사회를 위한 다양성과 포용성이라는 사회적 가치의 중요성’을 전달하고자 했다. 오 회장은 “지난 20년간 많은 부분에서 한국은 급격하게 성장해왔지만 여성의 위치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세계경제포럼의 성 격차 지수가 지난해 99위에 이어 105위로 6계단 내려갔는데, 특히 가장 낮은 부문은 경제 참여, 기회 부문으로 146개국 중 114위를 했다”고 밝혔다. 이어 오 회장은 “한국은 낮은 순위의 미국에 비해서도 경제활동 참여율에서 19%의 격차를 보이며 높은 비율을 보였고, 성별임금격차에서는 최하위를 기록했다”고 설명하면서 “한국의 유리천장지수는 11년동안 OECD 국가 중 최하위”라는 점을 강조했다. 오명숙 회장은 “구체적으로 과학기술계에서의 성⋯

[S-lab 브라운백 웨비나: 전환의 시대, 평화에 대한 새로운 고민 제2부] 3강 지구법학 관점에서의 생태평화

2023.11.09

[S-Lab 브라운백 웨비나] <전환의 시대, 평화에 대한 새로운 고민> 제2부 생태와 평화 제3강  지구법학 관점에서의 생태평화 일시: 2023년 11월 8일 수요일 12:00-13:15 장소: 온라인 화상회의(ZOOM) 발표: 김도희 (민변 환경보건위원회 동물권소위, 변호사) 토론: 정혜진 (지구와사람 지구법센터, 변호사) 주최: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제2부의 주제는 “생태와 평화”입니다. 기후변화 및 생태위기라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환적 인식 차원에서 생태 평화의 문제를 인간-비인간 관계에 대한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 관점에서 논의해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평화에 대 인식의 지평과 개념의 외연을 적극적으로 확장시켜보고자 합니다. 제3강은 <지구법학 관점에서의 생태평화>라는 제목으로 김도희 변호사(민변 환경보건위원회 동물권소위)의 발표와 정혜진 변호사(지구와사람 지구법센터)의 토론이 이어집니다. 최근 민변에서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한 헌법소원을 제기하면서 돌고래를 청구인에 포함시킨 바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동물의 법적 지위와 법인격 부여에 대한 그 의미와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서, 최근 지구법학(Earth Jurisprudence) 차원에서 발전시켜온 여러 법률가들의 전환적 고민들을 함께 나누어보고자 합니다. 발표자인 김도희 변호사는 민변의 이번 헌법소원 추진과 관련해 지구법학적 법리를 중심으로 한 생태 평화적 고민의 지점들을 소개할 것입니다.

[S-lab 브라운백 웨비나: 전환의 시대, 평화에 대한 새로운 고민 제2부] 2강 인류세, 자본세, 툴루세의 평화

2023.11.02

[S-Lab 브라운백 웨비나] <전환의 시대, 평화에 대한 새로운 고민> 제2부 생태와 평화 제2강  인류세, 자본세, 툴루세의 평화 일시: 2023년 11월 1일 수요일 12:00-13:15 장소: 온라인 화상회의(ZOOM) 발표: 최유미 (수유너머104 연구원) 토론: 이문영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주최: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제2부의 주제는 “생태와 평화”입니다. 기후변화 및 생태위기라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환적 인식 차원에서 생태 평화의 문제를 인간-비인간 관계에 대한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 관점에서 논의해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평화에 대 인식의 지평과 개념의 외연을 적극적으로 확장시켜보고자 합니다. 제2강은 <인류세, 자본세, 툴루세의 평화>라는 제목으로 최유미 연구원(수유너머 104)의 발표와 이문영 교수(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 토론으로 진행됩니다. 최근 인류세에 대한 논의가 자연이나 환경을 인간 갈등의 안정적인 배경으로 가정하고 인간에게 예외적 지위를 부여하는 홀로세(Holocene)의 인간-자연 구분을 비판하면서 부상해왔습니다. 도나 해러웨이(Donna Haraway)는 이러한 인류세조차도 인간중심적 한계를 온전히 극복하지 못했음을 지적하며 툴루세라는 새로운 인식의 틀을 제시합니다. 최유미 연구원은 ‘누구’도 혹은 ‘어떤 것’도 상호의존적인 관계 바깥에서 나고 성장하고 만들어질 수 없음을 표명하는 해러웨이의 공-산共-産 사유를 중심으로 생태 평화의 지평을 넓혀줄 것입니다.

[S-lab 브라운백 웨비나: 전환의 시대, 평화에 대한 새로운 고민 제2부] 1강 인간-비인간 관계의 정치: 브뤼노 라투르의 평화

2023.10.26

[S-Lab 브라운백 웨비나] <전환의 시대, 평화에 대한 새로운 고민> 제2부 생태와 평화 제1강  인간-비인간 관계의 정치: 브뤼노 라투르의 평화  일시: 2023년 10월 25일 수요일 12:00-13:15 장소: 온라인 화상회의(ZOOM) 발표: 홍성욱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교수) 토론: 김학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주최: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제2부의 주제는 “생태와 평화”입니다. 기후변화 및 생태위기라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환적 인식 차원에서 생태 평화의 문제를 인간-비인간 관계에 대한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 관점에서 논의해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평화에 대 인식의 지평과 개념의 외연을 적극적으로 확장시켜보고자 합니다. 제1강은 <인간-비인간 관계의 평화: 브뤼노 라투르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으로 홍성욱 교수(서울대학교 과학학과)의 발표와 김학재 교수(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 토론으로 구성됩니다. 브뤼노 라투르(Bruno Latour)는 인간-비인간, 사회-자연 등 대립적 이원론에 기반한 서구의 근대적 지식체계에 대한 근원적 문제를 제기하는 학술성과를 남겼습니다. 이러한 그의 사상적 궤적은 오늘날 포스트휴머니즘과 신유물론(New materialism), 인류세(Anthropocene)와 툴루세(Chthulucene) 등과 같은 다양한 학술적 논의들의 지적 토대가 되고 있습니다. 제1강에서는 홍성욱 교수가 소개하는 라투르의 사상적 궤적을 중심으로 이것이 오늘날 평화의 생태적 (재)구성에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논의하게 될 것입니다.

[제51차 IPUS 평화학세미나] 미소냉전의 기원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2023.10.24

2023년 10월 16일부터 19일까지 냉전사가 션즈화(沈志華) 교수 초청 연속강좌가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교육협력동에서 개최되었다. 금번 강좌는 한국연구재단 후원하에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과 한국냉전학회의 공동주최로 4일간 연속으로 온·오프라인상 동시 진행되었다. 션즈화 교수는 화동사범대교 역사학과 종신교수로서 1993년 중국사학회동방역사연구소를 세운 후 구소련의 비밀문서와 중국공산당의 문서 등을 통해 한국전쟁과 냉전사를 연구해왔다. 주요 저서로 『최후의 천조(天朝)』, 『김일성 시대의 중국과 북한』, 『마오쩌뚱 스탈린과 조선전쟁』 등이 있으며, 한국전쟁과 냉전사(冷戰史) 연구의 권위자로 알려져 있다. 이번 강좌는 션즈화 교수가 최근 홍콩에서 출간한 저서 『경제 소용돌이: 미소 냉전 발생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토대로 진행되었다. 10월 16일, ‘미소 경제 관계의 변화: 임대체 지원에서 브레튼우즈 체제로’라는 주제로 진행된 첫날 강의에서는 냉전의 역사와 그 발생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그리고 렌드-리스(Lend-Lease)와 브레튼우즈체제의 발생을 다루었다. 이 자리에서 그는 냉전의 기원과 발생에 관해 정치적 이념적 접근을 중심으로 하는 기존 연구에 대해, ‘경제’의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17일 이어진 2강은 ‘냉전의 서막: 미국의 소련 전략의 오판’이라는 주제로 전개되었다. 여기서는 냉전이 본격화되기 이전 소련에 대한 미국의 전략적 인식의 오류와 이란 석유⋯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