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2025년 7월 29일 화요일 오후 4시 장소: 온라인 화상회의(ZOOM) 발표: 전의령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부교수) 좌장: 이승철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부교수) 주제: 기후위기 시대, ‘비인간과의 공존’이라는 문제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평화, 그 다양성에 대하여]라는 대주제 하에, 전의령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부교수를 모시고 2025년 7월 29일 화요일 “기후위기 시대, ‘비인간과의 공존’이라는 문제”라는 주제로 제32차 평화학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는 이승철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부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환영사와 함께 포럼의 막을 올렸다. 전의령 부교수는 ‘비인간과의 공존’이라는 화두가 오늘날 널리 이야기되지만, 그 이면에 숨겨진 복잡성과 딜레마를 성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강연을 통해 기후위기의 또 다른 이름인 ‘인류세’ 담론과, 이를 극복하려는 ‘탈인간중심주의’ 담론이 각각 어떤 한계를 안고 있는지 분석했다. 전 교수는 먼저 ‘인류세(Anthropocene)’ 담론이 ‘망가진 지구에 대한 책임을 인류 전체의 것으로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담론은 인류를 초역사적, 초계급적인 단일한 존재로 상정함으로써, ‘인간 내부의 차이와 타자성, 그리고 이를 구성하는 역사와 권력이라는 문제를 제거’한다. 실제 기후위기의 근본 원인은 18세기 영국에서 발달한 ‘화석 자본(fossil capital)’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