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제23차 평화학포럼] 통일 이후 독일사회의 인종주의와 이주민 혐오

2024.06.04

일시: 2024년 5월 29일 수요일 17:00-18:30 장소: 온라인 화상회의(ZOOM) 발표: 최윤영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좌장: 이노은 (인천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주제: 통일 이후 독일사회의 인종주의와 이주민 혐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평화로운 공존: 탈분단과 다문화]라는 대주제 하에 최윤영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를 모시고 2024년 5월 29일 수요일 ‘통일 이후 독일사회의 인종주의와 이주민 혐오’라는 주제로 제23차 평화학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는 이노은 인천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환영사와 함께 포럼의 막을 올렸다. 이번 포럼에서 최윤영 교수는 독일 통일 이후 이주민에 대한 테러의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고, 이를 담아낸 문학의 사례를 통해 실제 개인들, 특히 이주민들이 이러한 시대를 어떻게 겪어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우선 최윤영 교수는 “2022년 기준 독일 내 이주배경주민의 비율이총인구수의 28.7%에 달한다”는 점을 소개하며 “그중에서 독일 국적을 가진 사람이 반이고 나머지는 외국인 국적을 가진 사람이 반”이라고 설명했다. 최윤영 교수는 “이러한 배경에는 서독이 경제 부흥을 일으키면서 필요했던 노동력을 가스트 아르바이터(Gastarbeiter)를 통해 채웠기 때문”이라고 밝히며 “최근 통계에 따르면 터키가 가장 비율이 높고, 그 다음은 우크라이나가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제22차 평화학포럼] 이주민 사회통합을 위한 이민 정책 패러다임 변화

2024.05.25

  일시: 2024년 5월 22일 수요일 17:30-19:00 장소: 온라인 화상회의(ZOOM) 발표: 장주영 (이민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좌장: 진미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교수) 주제: 이주민 사회통합을 위한 이민 정책 패러다임 변화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평화로운 공존: 탈분단과 다문화]라는 대주제 하에 장주영 이민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을 모시고 2024년 5월 22일 수요일 ‘이주민 사회통합을 위한 이민 정책 패러다임 변화’라는 주제로 제22차 평화학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는 진미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앞으로 한 학기동안 진행될 평화학포럼 일정을 소개한 후 환영사와 함께 포럼의 막을 올렸다. 이번 포럼에서 장주영 박사는 한국의 이민 정책 변천과 현황을 점검하고 사회통합을 위해 필요한 이민 정책의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우선 장주영 박사는 국내 이주민의 규모를 설명하기 위해 법무부와 행정안전부에서 집계하는 통계를 바탕으로 이주민에 대한 다양한 개념을 소개했다. 장주영 박사는 “법무부에서 발표하는 ‘장기 체류 비자를 가지고 합법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의 숫자는 2022년 기준 총인구의 3.3%인 169만 명 정도”이며, 이는 “총인구의 0.3%인 15만 명 정도였던 1998년과 비교하여 급증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행정안전부의 통계에서 인용되는 ‘외국인 주민’은 2022년⋯

[제21차 평화학포럼] 여성과학기술인, 다양성과 포용성의 세계를 들여다보다

2023.12.08

  일시: 2023년 12월 7일 목요일 17:00-18:30 장소: 온라인 화상회의(ZOOM) 연사: 오명숙 ((사)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前 홍익대학교 신소재화공시스템공학부 교수) 사회: 윤지현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평화학센터장/ 식품영양학과 교수) 주제: 여성과학기술인, 다양성과 포용성의 세계를 들여다보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오명숙 (사)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을 모시고 2023년 12월 7일 목요일 ‘여성과학기술인, 다양성과 포용성의 세계를 들여다보다’라는 주제로 제21차 평화학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는 윤지현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평화학센터장이 사회를 맡았고, 환영사와 함께 포럼의 포문을 열었다. 이번 포럼에서 오명숙 회장은 ‘평화로운 사회를 위한 다양성과 포용성이라는 사회적 가치의 중요성’을 전달하고자 했다. 오 회장은 “지난 20년간 많은 부분에서 한국은 급격하게 성장해왔지만 여성의 위치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세계경제포럼의 성 격차 지수가 지난해 99위에 이어 105위로 6계단 내려갔는데, 특히 가장 낮은 부문은 경제 참여, 기회 부문으로 146개국 중 114위를 했다”고 밝혔다. 이어 오 회장은 “한국은 낮은 순위의 미국에 비해서도 경제활동 참여율에서 19%의 격차를 보이며 높은 비율을 보였고, 성별임금격차에서는 최하위를 기록했다”고 설명하면서 “한국의 유리천장지수는 11년동안 OECD 국가 중 최하위”라는 점을 강조했다. 오명숙 회장은 “구체적으로 과학기술계에서의 성⋯

[S-lab 브라운백 웨비나: 전환의 시대, 평화에 대한 새로운 고민 제2부] 3강 지구법학 관점에서의 생태평화

2023.11.09

[S-Lab 브라운백 웨비나] <전환의 시대, 평화에 대한 새로운 고민> 제2부 생태와 평화 제3강  지구법학 관점에서의 생태평화 일시: 2023년 11월 8일 수요일 12:00-13:15 장소: 온라인 화상회의(ZOOM) 발표: 김도희 (민변 환경보건위원회 동물권소위, 변호사) 토론: 정혜진 (지구와사람 지구법센터, 변호사) 주최: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제2부의 주제는 “생태와 평화”입니다. 기후변화 및 생태위기라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환적 인식 차원에서 생태 평화의 문제를 인간-비인간 관계에 대한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 관점에서 논의해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평화에 대 인식의 지평과 개념의 외연을 적극적으로 확장시켜보고자 합니다. 제3강은 <지구법학 관점에서의 생태평화>라는 제목으로 김도희 변호사(민변 환경보건위원회 동물권소위)의 발표와 정혜진 변호사(지구와사람 지구법센터)의 토론이 이어집니다. 최근 민변에서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한 헌법소원을 제기하면서 돌고래를 청구인에 포함시킨 바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동물의 법적 지위와 법인격 부여에 대한 그 의미와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서, 최근 지구법학(Earth Jurisprudence) 차원에서 발전시켜온 여러 법률가들의 전환적 고민들을 함께 나누어보고자 합니다. 발표자인 김도희 변호사는 민변의 이번 헌법소원 추진과 관련해 지구법학적 법리를 중심으로 한 생태 평화적 고민의 지점들을 소개할 것입니다.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