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제25차 평화학포럼] 아프간 난민과 함께한 울산의 1년

2024.06.28

  일시: 2024년 6월 26일 수요일 17:00-18:30 장소: 온라인 화상회의(ZOOM) 발표: 김영화 (시사IN 기자) 좌장: 김부열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주제: 아프간 난민과 함께한 울산의 1년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평화로운 공존: 탈분단과 다문화]라는 대주제 하에 김영화 시사IN 기자를 모시고 2024년 6월 26일 수요일 ‘아프간 난민과 함께한 울산의 1년’이라는 주제로 제25차 평화학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는 김부열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환영사와 함께 포럼의 막을 올렸다. 이번 포럼에서 김영화 기자는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여전히 이주와 이민이 갈등의 중심이 되고 공존의 노하우가 기록되고 있지 않다’는 문제의식 하에, 울산 동구의 이주민 지역 통합 사례를 살펴보며 이러한 사례가 우리 사회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논의하고자 했다. 우선 김영화 기자는 이주민과 관련한 취재를 할 당시의 경험을 뒤돌아보며 “이주민과 이민에 대한 국내의 부정적 여론을 다양하게 확인했고, 해당 문제가 ‘앞으로 더 빈번히 발생할 문제’라는 점에서 더욱 우려되었다”라고 밝혔다. 이어 김영화 기자는 “한국은 2023년 인구 대비 체류 외국인 비율이 4.89%을 기록하며 점차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지만, 2018년 예맨⋯

[제24차 평화학포럼] 한국사회의 인종주의와 이주민 혐오

2024.06.21

  일시: 2024년 6월 19일 수요일 17:00-18:30 장소: 온라인 화상회의(ZOOM) 발표: 이소훈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좌장: 박서연 (안산다문화작은도서관 관장) 주제: 한국사회의 인종주의와 이주민 혐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평화로운 공존: 탈분단과 다문화]라는 대주제 하에 이소훈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를 모시고 2024년 6월 19일 수요일 ‘한국사회의 인종주의와 이주민 혐오’라는 주제로 제24차 평화학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는 박서연 안산다문화작은도서관 관장이 좌장을 맡았고, 환영사와 함께 포럼의 막을 올렸다. 이번 포럼에서 이소훈 교수는 인종과 관련한 개념이 처음 등장한 지난 세기의 상황을 현재와 비교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가 가진 인종에 관한 오해와 선입견을 생각해 보고자 했다. 이에 이소훈 교수는 세 가지의 논지를 우선 제시했는데, 첫 번째로 “인종은 구성된 개념이며 역사적으로 백인우월주의는 유럽 제국주의와 식민주의를 정당화하도록 작용했고, 인종의 개념은 근대와 근대화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라고 설명했다. 두 번째로, 이소훈 교수는 “역사적으로 ‘한국인’의 형성은 인종적 과정을 수반했지만, 독특한 역사적 과정 때문에 인종적 위계질서는 가려지고, 모순적이고, 절충된 논리로 전개되었다”라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이소훈 교수는 “21세기 고소득 국가 반열에 진입한 한국 사회에서 ‘역사적으로⋯

[제23차 평화학포럼] 통일 이후 독일사회의 인종주의와 이주민 혐오

2024.06.04

일시: 2024년 5월 29일 수요일 17:00-18:30 장소: 온라인 화상회의(ZOOM) 발표: 최윤영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좌장: 이노은 (인천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주제: 통일 이후 독일사회의 인종주의와 이주민 혐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평화로운 공존: 탈분단과 다문화]라는 대주제 하에 최윤영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를 모시고 2024년 5월 29일 수요일 ‘통일 이후 독일사회의 인종주의와 이주민 혐오’라는 주제로 제23차 평화학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는 이노은 인천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환영사와 함께 포럼의 막을 올렸다. 이번 포럼에서 최윤영 교수는 독일 통일 이후 이주민에 대한 테러의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고, 이를 담아낸 문학의 사례를 통해 실제 개인들, 특히 이주민들이 이러한 시대를 어떻게 겪어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우선 최윤영 교수는 “2022년 기준 독일 내 이주배경주민의 비율이총인구수의 28.7%에 달한다”는 점을 소개하며 “그중에서 독일 국적을 가진 사람이 반이고 나머지는 외국인 국적을 가진 사람이 반”이라고 설명했다. 최윤영 교수는 “이러한 배경에는 서독이 경제 부흥을 일으키면서 필요했던 노동력을 가스트 아르바이터(Gastarbeiter)를 통해 채웠기 때문”이라고 밝히며 “최근 통계에 따르면 터키가 가장 비율이 높고, 그 다음은 우크라이나가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제22차 평화학포럼] 이주민 사회통합을 위한 이민 정책 패러다임 변화

2024.05.25

  일시: 2024년 5월 22일 수요일 17:30-19:00 장소: 온라인 화상회의(ZOOM) 발표: 장주영 (이민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좌장: 진미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교수) 주제: 이주민 사회통합을 위한 이민 정책 패러다임 변화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평화로운 공존: 탈분단과 다문화]라는 대주제 하에 장주영 이민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을 모시고 2024년 5월 22일 수요일 ‘이주민 사회통합을 위한 이민 정책 패러다임 변화’라는 주제로 제22차 평화학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는 진미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앞으로 한 학기동안 진행될 평화학포럼 일정을 소개한 후 환영사와 함께 포럼의 막을 올렸다. 이번 포럼에서 장주영 박사는 한국의 이민 정책 변천과 현황을 점검하고 사회통합을 위해 필요한 이민 정책의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우선 장주영 박사는 국내 이주민의 규모를 설명하기 위해 법무부와 행정안전부에서 집계하는 통계를 바탕으로 이주민에 대한 다양한 개념을 소개했다. 장주영 박사는 “법무부에서 발표하는 ‘장기 체류 비자를 가지고 합법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의 숫자는 2022년 기준 총인구의 3.3%인 169만 명 정도”이며, 이는 “총인구의 0.3%인 15만 명 정도였던 1998년과 비교하여 급증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행정안전부의 통계에서 인용되는 ‘외국인 주민’은 2022년⋯

Close